스타트업트렌드

기존의 SI업체에대한 상식을 뒤집은 ‘트라이 포트’

하청, 계약을 위한 가격인하 전투, Death-Match. 디지털 시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에 발맞추어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인/월 단위의 노동 집약적 개발 스타일이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IT강국인 우리 나라는 물론이고, 바다 건너 가까운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어쩔 수 없이 아웃소싱(SI 업체에 하청)을 맡기게 되는데, 엔제니어들에게 있어 게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등 화려한 느낌이 드는 B2C 개발에 비하여 ‘아웃소싱’이라는 단어가 풍기는 이미지는 결코 좋지많은 않다.

이러한 ‘아웃소싱’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있는 스타트업업체가 최근 일본에서 활동중이다. Mobile & Social에 키워드를 맞춘 아웃소싱 개발 사업에서 실적을 올리고있는 ‘TriFort Studio(트라이 포트 스튜디오)‘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일본 내 법인설립을 한 날짜는 채 1년이 되지 않은, 2012년 8월. 이미 사원 수는 80명을 넘어섰고, 절반 이상이 개발자이다.

스크린샷 2013-04-01 오전 1.29.44

세계 최강의 기술 벤처가 되는 것이 목표인 ‘TriFort Studio’는 목표를 이상으로 끝내지 않고, 실천 속에서 실적을 올리고 있다. 최근 일본의 IT 매거진인 [Engineer Type]에 실린 기사에 따르면, 3월 중순 기준 ‘TriFort Studio’는 동시에 10개 이상의 위탁 개발건을 진행중에 있다고 밝혔다. 10개 이상의 개발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는 일도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보다도 놀라운건, 아직 생긴지 1년도 채 안된 신생 스타트업에 끊임없는 개발 요청이 들어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비밀은 ‘TriFort Studio’에서 만들고, 철저하게 그 기준을 지키고 있는 ‘개발’및 ‘채용 스타일’에 있다.

기존 SI와의 차별화, 엔지니어 채용 및 육성의 비밀

(1) ‘하청’을 하지 않는다 -> 프로젝트는 기획-운영까지 일괄 청부

‘TriFort Studio’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 대부분이 기획부터 납품, 운영까지 모두 자사에서 하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무엇을 만들 것인가?], [사양은 어떻게 할 것인가?]의 단계부터 클라이언트와 함께 고민하여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SI ‘하청’은 아닌 것이다.

(2) 인/월 단가로 생각하지 않는다 -> 개발팀은 소수정예로

개발팀의 인원수는 해당 프로젝트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누군가 없어지면 팀이 돌아가지 못한다!]라는 기준으로 빠듯한 인원의 프로젝트 팀을 편성한다. 자사의 마진을 늘리기 위한 수단이 아닌, 팀 내 모든 사람이 책임감을 느끼며 일에 임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을 할 수 없도록.

(3) 피라미드 구조를 만들지 않는다 -> CTO도 항상 현장에

‘TriFort Studio’의 CTO는, Chief Technology Officer라는 직함에 걸맞게 회사 내의 모든 프로젝트에 관여하여 사원들과 함께 고민하며 개발에 임한다.

(4) 기술 매칭을 고집하지 않는다 -> 채용 Point는 기술을 좋아하는가?

아직 설립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신생 스타트업에게 유명한 엔지니어를 다수 채용하는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기술력이 돈벌이의 포인트인 ‘TriFort’에게 유능한 엔지니어를 많이 뽑는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유능한 엔지니어를 확보하기 위하여, ‘TriFort Studio’는 기술력=담보 를 기준으로 하는 새로운 방식의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연령, 성별, 학벌 등을 무시하고 ‘성장 포텐셜’에 포커스를 맞춘 열린 채용방식을 채택한것이다.

‘TriFor Studiot’의 이러한 행보는 ‘하청’인식이 강한 아웃소싱의 이미지를 좋게 바꿀 수 있을 것인가- 에 대한 일본 내 관심이 생겨나는 가운데, ‘TriFort Studio’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크몽, ‘2024 크몽어워즈’ 개최…일하는 방식의 혁신 강화

글로벌 이벤트

“뉴메이커의 시대가 온다 …” ‘메이커 발전 포럼’ 선전에서 개최

스타트업 이벤트

첫 ‘스타트업 월드컵’ 우승컵은 일본 스타트업 품에

트렌드

일본 유일 유니콘 기업, ‘메루카리’의 세 가지 성장 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