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진+영상)”어벤져스 팔콘을 만들어 드립니다”

28일 개최된 2018 광저우 연례 투자 콘퍼런스(中国广州国际投资年会)’ 부대행사서 업계의 주목을 받은 것은 자율주행차 시스템이었지만, 대중적 인기를 끈 것은 중국 VR 업체 나인디(NINED)의 체험기였다.

나인디는 IT, 게임 행사의 단골손님으로, VR장비 제작과 콘텐츠 개발, 솔루션 공급을 하는 분야 대형 기업이다.

현재 VR 및 AR 산업은 중국 대기업이 눈독 들이는 사업 중 하나다. 2015년부터 가상현실 게임 체험 공간인 ‘VR 아케이드(VR Arcade)’ 붐이 불어 수나 규모, 시설 면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중국 전역으로 따지면 2016년 한 해에만 약 3만5천 개 규모 VR 아케이드가 문을 열었다. 일반 오피스텔에 입주해있는 소규모 영업장부터, 쇼핑센터 내부에 위치한 대형 체험관까지 그 규모도 다양하다.

IT행사 VR체험 부스는 참관객의 줄이 가장 긴 코스이기도 하다. 중국에서 시장 트렌드를 살펴볼 때 흔히 쓰이는 바이두 검색지수에서 VR은 이미 플레이스테이션4를 따라잡고 있을 정도로 개념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의 VR 기술력은 자타공인 세계 최고수준이다. 크고 작은 중국의 제조사들이 VR기기 및 콘텐츠 개발을 진행해 왔다. 근래 개인용 디바이스보다는 테마파크나 VR방류의 아케이드쪽에 무게 중심이 쏠리는 중이다.

중국 컨설팅 업체 아이리서치(iResearch)가 내어놓은 ‘중국 VR산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중국 VR산업 내 투자 현황을 보면 51.9%가 하드웨어에 집중되어 있고 그 뒤를 플랫폼, 컨텐츠, 영상, 광고의 순이다. 하지만 고객을 끌어들이는 핵심역량이 갖춰지면서 현재는 11.4%에 불과한 컨텐츠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이 한국의 상황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게 VR 체험관의 성장 규모와 속도이다. 2014년부터 속도를 낸 오프라인 체험관은 현재 전국에 약 2200개가 오픈해 있고 한 번 이용에 평균 10-30위안(2천-6천원)의 이용료를 받고 있다. 이는 지난 10년 동안 5500개가 오픈한 영화관에 비해 빠른 성장 속도다. 설립시 낮은 원가와 작은 면적, 그리고 싼 이용료 등이 비교우위다. 하지만 컨텐츠가 많이 부족하기에 낮은 재이용률이라는 결과로 체험관 성장의 제약이다.

이하 나인디 체험기 사진 및 영상

YouTube video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이벤트

올림플래닛, XR 시대 새로운 크리에이터 경제 모델 제시

스타트업

비브스튜디오스, 세계 최대 군사 기술전시회서 VR 기술 선봬

스타트업

레티널, 일본 NTT와 손잡고 AR 글래스 출시

트렌드

가상현실 (VR) 헤드셋, 얼마나 얇아질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