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카셰어링 기업 쏘카, 베인캐피탈로부터 18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카셰어링 업체 쏘카가 세계적인 투자사인 베인캐피탈(Bain Capital)로부터 총 180억원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쏘카는 국내 카셰어링 업체 중 대기업 기반 없이 설립된 유일한 벤처기업으로 전국에서 총 1400대 차량을 850개 거점에서 서비스하는 국내 최대 카셰어링 업체이다. 설립 이후 매년 10배씩 성장하며 실 가입자 30만명을 돌파하고, 연 매출 300억을 달성했다.

베인 캐피탈은 쏘카에 대한 이번 투자유치 배경으로 , 자동차 ‘소유’에서 ‘필요한 만큼 이용’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며 전 세계 카셰어링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점, 한국 카셰어링 시장은 지난 2년간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했고 높은 도시 인구밀도와 대중교통 및 IT 인프라 등을 기반으로 이후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점, 쏘카는 한국의 카셰어링 업체 중 최대 인프라와 성장률을 기록하며 탄탄한 이용자 커뮤니티와 기술/데이터 기반의 차별화된 핵심 역량을 갖고 있다는 점, 향후 교통분야의 혁신적인 신규 서비스를 끌어갈 역량을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한 해외진출 가능성도 높은 점 등을 꼽았다.

쏘카의 카셰어링 서비스는 이미 미국이나 유럽에서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점도 이번 투자 유치의 주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집카(zipcar), 우버(uber), 리프트(lyft) 등 교통 분야에 불어 닥친 IT 기반의 혁신 벤처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과 투자뿐 아니라 국내 대표적인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로 가장 성장성이 높다는 평가이다.

또 결제카드를 등록해두고 이용 시 마다 자동 결제되는 이용방식은 향후 온디맨드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확장 가능성도 주목된다.

김지만 쏘카 대표는 “전국 어디서든 10~15분이면 쏘카존에 닿을 수 있도록 3년내에 5000대까지 차량을 확대할 계획이며, 편도 서비스 확대와 유류비 부담이 없는 전기차 도입을 통해 서비스 고도화를 점진적으로 추진해감과 동시에 쏘카의 가장 큰 자산인 이용자 커뮤니티를 더욱 강화해갈 방침”이라며 “향후 해외진출 및 P2P 카셰어링, 라이드쉐어링(ride sharing) 등 온디맨드(On demand)형 신규 서비스를 추가해 새로운 형태의 모빌리티 플랫폼(new mobility platform)으로 진화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쏘카, 2024년 4분기 매출 1,224억원, 영업익 30억원…2분기 연속 흑자

스타트업

쏘카 ‘패스포트’, 100만 가입자 돌파

스타트업

쏘카 이동 데이터로 본 대한민국의 새로운 일상

스타트업

모두의주차장, ‘노는’ 거주자우선주차면 9천여개‘공유 주차장’으로 탈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