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부터 ‘불량 백신’까지…블록체인으로 정부 검열 맞서는 중국인들
블록체인이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에 대한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 포춘은 최근 중국의 ‘가짜 백신 사태’에서 블록체인이 새로운 여론 조성의 통로로 활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현재 가짜 백신 사건으로 들썩이고 있다. 중국 2위의 제약회사인 창성 바이오테크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백신 25만여 개를 불법으로 유통했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들이 필수로 접종해야 하는 DPT(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백신에 대한 사건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다. 해당 백신이 유통된 것은 수년 전부터이며, 보건 당국과 제약회사 간 정경유착이 현 사태의 핵심 원인이라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위챗에서 ‘백신’이라는 단어가 4억 회 이상 등장할 정도로 뜨거운 비판 여론은 공산당 체제 자체에 대한 공격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를 제재하기 위해 중국 당국은 지난 7월 24일부터 인터넷과 SNS에서 백신 관련 뉴스를 모두 통제한 상황이다.
그러나 7월 21일 수오예(兽爷, 짐승)라는 필명으로 백신 스캔들을 온라인에 최초로 알린 블로거는, 정부 당국이 검열할 수 없는 블록체인에 자신의 글들을 추가했다. 해당 블로거가 활용한 이더리움 플랫폼은 공개된 분산형 원장이기 때문에 누구든 거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수오예는 거래 메타 데이터에 첨부 문서로 전체 기사를 게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을 통한 검열 견제 움직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중국에서는 ‘미투’ 운동이 블록체인을 통해 전개된 사례가 있었다. 지난 4월, 중국 북경대의 한 학생은 당국의 인터넷 검열을 피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성폭력 사건을 폭로하는 글을 올렸다. 20년 전 북경대 내 교수-학생 간 성폭력 사건에 대한 실태를 밝히고자 하는 움직임에 대해, 중국 당국이 제재를 가하자 네티즌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해 당국에 맞선 것이다. 한 네티즌은 이를 ‘역사적인 거래’라고 평하기도 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가상화폐 거래를 금지하면서도, 블록체인 산업에는 전폭적으로 투자하는 이중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상하이, 항저우, 선전 등 주요 도시들이 제각기 블록체인 전문 펀드를 조성했을 뿐만 아니라, 시진핑 주석까지 나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시티를 키우고 있다. 이렇듯 적극적으로 양성하고 있는 블록체인 산업이 공산당 체제에 대한 큰 위협으로 다가올 때, 중국 정부는 어떤 태도의 변화를 보이게 될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