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로나19이후 결제금액이 가장 증거한 업종은 ‘배달’과 ‘슈퍼마켓’

코로나19 이후 결제금액이 가장 증가한 업종은 ‘배달’이었다.

앱/리테일 분석서비스 와이즈앱/와이즈리테일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화되기 전 1월과 본격화된 3월에서 가장 큰 비율로 결제금액이 증가한 업종은 ‘배달’이었다. 배달의민족, 요기요의 3월 결제 추정금액 합산은 1월 대비 44%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두 번째로 결제금액 증가율이 큰 업종은 ‘슈퍼마켓’이었다. 3월의 GS슈퍼마켓, 롯데슈퍼 등 상위 4개 슈퍼마켓의 소비자 결제 추정금액은 1월 대비하여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네이버, 쿠팡, 이베이코리아, 11번가의 결제 추정금액을 합산한 ‘인터넷쇼핑’ 업종이 29% 증가, GS홈쇼핑, 롯데홈쇼핑, 홈앤쇼핑, NS홈쇼핑의 결제 추정금액을 합산한 ‘홈쇼핑’이 29%, 구글, 오늘의 집, 넥슨, 넷플릭스의 결제 추정금액을 합산한 ‘인터넷서비스’가 22%, 파리바게트, 뚜레쥬르, 배스킨라빈스, 던킨도넛의 결제 추정금액을 합산한 ‘제과/제빵’이 13%, GS25, 씨유, 세븐일레븐, 이마트24의 결제 추정금액을 합산한 ‘편의점’이 7% 증가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하락한 업종들도 많았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농협하나로마트의 결제 추정금액을 합산한 ‘대형마트’는 3%,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커피, 할리스커피의 ‘커피숍’은 15%,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NC백화점의 ‘백화점’은 30%,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의 ‘항공’은 83%, 롯데면세점, 신세계면세점, 신라면세점, JDC면세점은 90%,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극장’은 9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밖에 코로나19로 재택시간이 길어지면서 온라인 인테리어 소품 구매 서비스인 ‘오늘의 집’이 118%, 온라인 신선식품 주문 서비스 ‘마켓컬리’가 100%,  가정용 커피 구매 증가로 ‘네슬레코리아’가 87%가 증가했다.

위 조사는 만 20세 이상 한국인이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결제로 해당 리테일에서 결제한 금액을 추정한 것으로 소비자의 결제 내역을 기준으로, 법인카드, 법인계좌이체, 기업 간 거래, 현금거래, 상품권으로 결제한 금액은 포함되지 않았다.

모든 앱의 정보를 무료로 확인하는 와이즈앱(WiseApp) / 매일매일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모바일 비즈니스 환경에서 개발자, 기획자, 투자자, 마케터를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누구나 쉽게 앱정보를 얻고 공유하도록 매주 다양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Uncategorized

배민방학도시락 10번째 캠페인 시작…6년간 6,200명에 15만 끼니 전달

트렌드

40대 한국인 SNS 1위 ‘인스타그램’…밴드 앞질러

스타트업

배민 15년, 플랫폼 경제의 길을 묻다

트렌드 스타트업

중고거래 플랫폼 MAU 1위 당근 2127만명… 헤이딜러 67%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