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의 증권플러스 비상장이 지난 6개월 간 월간활성이용자(Monthly Active Users, 이하 MAU)가 4배 증가하고 거래량도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MAU는 올 초 1만명 대 수준이었으나, 4월, 2만명대로 올라섰다가 6월에는 4만 4천 명으로 급성장했다. 신규 가입자도 꾸준히 늘어 20일 현재 기준 누적 가입자 10만 명을 넘어섰고,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거래 가능한 비상장 종목은 총 4,660개, 거래 희망 게시글은 41,122개, 거래 완료 게시글은 9,179건에 달한다.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이 같은 성과는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 환경을 만든 데 따른 결과다. 출시 당시부터 비상장 주식 거래의 ‘정보 비대칭성 해소’, ‘거래 안정성 확보’, ‘높은 유통 마진 해소’를 강조했고, 약 4천 여개의 종목을 거래할 수 있어 투자자 관심이 집중되는 시기에 성장을 만들었다.
두나무는 나아가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정보를 확대 제공한다. 현재 두나무 공식 블로그에서는 ‘나는 비상장에 투자한다’ 시리즈를 연재 중이다.
두나무 관계자는 “국내에서 유니콘 기업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비상장 주식 투자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본다”며 “증권플러스 비상장은 투자자들을 위해 다양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비상장 주식 투자의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증권플러스 비상장은 비상장 주식의 종목과 거래 정보를 모바일에서 편리하게 탐색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 2019년 11월 출시됐다. 두나무 자체 기업 정보 발굴 팀이 종합적인 투자 판단에 필요한 비상장 종목 정보를 제공하고, 매매 거래는 삼성증권 안전거래 시스템에서 이뤄지며, 거래 당사자들의 안전거래 회원 인증 여부를 확인하거나 판매자의 주식 보유가 입증된 확인매물을 모아보는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 확장성과 이용자 편의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한 끝에 지난 4월 1일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고, 연내 블록체인 기반 주주명부관리시스템의 시범 서비스 도입을 앞두고 있다. 해당 시스템이 도입되면 국내 비상장 종목의 거의 대부분인 통일주권 미발행 기업의 주식 거래도 가능해 진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