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빅데이터 조회 서비스 ‘카카오데이터트렌드’ 오픈…기간,기기,성별,연령,지역 기준으로 검색어 현황 비교

카카오가 빅데이터를 살펴보고 참고할 수 있는 ‘카카오데이터트렌드(Kakao Data Trend)’를 시작했다.

카카오데이터트렌드는 포털 다음의 통합 검색어 정보를 기간, 기기, 성별,  연령, 지역 등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최대 5개의 검색어를 동시에 입력해 각 검색어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는 차트 형태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조회한 내용을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 직접 데이터를 가공해 연구나 리서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언’, ‘어피치’, ‘죠르디’, ‘스카피’, ‘앙몬드’ 등 카카오의 5개 캐릭터명을 동시에 입력해 비교해보면, 남성 비중이 가장 높은 캐릭터는 ‘라이언’, 여성 비중이 가장 높은 캐릭터는 ‘스카피’였다. 아울러 죠르디, 스카피, 앙몬드 등 니니즈 캐릭터는 2030 세대가 상대적으로 많이 검색했고, 죠르디는 카카오페이지에서 ‘죠르디24시’ 이모티콘 이벤트가 시작된 4월 20일부터 검색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는 카카오데이터트렌드로 팬덤이 어느 지역에 분포해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지의 게임판타지 장르 대표 IP인 ‘나 혼자만 레벨업’과 ‘달빛조각사’의 최근 3개월 검색량을 비교하면, ‘나 혼자만 레벨업’은 수도권과 충청, 경남 등에서 ‘달빛조각사’는 경북과 전남, 제주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검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검색어 데이터만 제공하지만 카카오는 향후 콘텐츠와 비즈니스 등 분야의 데이터를 추가로 업데이트해 빅데이터 조회 플랫폼으로 키워나갈 예정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데이터트렌드는 거시적 관점에서 다양한 분야의 트렌드를 손쉽게 확인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게 돕고자 하는 서비스” 라며 “포털 통합 검색어뿐 아니라 카카오가 보유한 콘텐츠, 비즈니스 플랫폼의 빅데이터도 추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Uncategorized

카카오, 국내 최초 MoE 모델 등 AI 언어모델 2종 오픈소스 공개

이벤트 스타트업

제주센터·카카오 ‘2025 J 임팩트 이노베이션’, 환경문제 해결 3개사 선정

경제

카카오 그룹, 2024년 생산유발효과 19.1조 원 기록

트렌드

카카오, 새 디지털 서체 ‘카카오 글씨’ 제작 및 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