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형 부동산 투자처로 주목받던 지식산업센터 시장이 지난해 잇단 금리 인상으로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5일 발표한 실거래가 분석에 따르면, 2022년 1~11월 서울시 내 지식산업센터 매매거래건수는 60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동 기간 1040건 대비 41.6% 감소한 수치다.
거래금액도 크게 위축됐다. 누적 매매거래금액은 5515억원으로 2021년 7907억원보다 30.2% 줄어들었다.
월별 거래량 추이를 보면 금리 인상의 영향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지난해 4월 98건의 활발한 거래를 보였던 서울시 지식산업센터는 5월 75건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은행이 사상 첫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7월 이후 거래량이 급락했다. 7월 거래량은 27건으로 폭락했고, 10월에는 13건에 그쳐 2022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10월 역시 한국은행이 빅스텝을 재차 단행한 시점으로, 금리 인상이 지식산업센터 거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는 금천구가 2년 연속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금천구는 2021년 444건에서 2022년 278건으로 37.4% 감소했지만, 여전히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뒤를 이어 성동구 92건, 영등포구 74건, 구로구 67건, 송파구 45건, 강서구 43건 순으로 거래됐다.
평당 가격(전용면적 기준)은 지역별로 697만원에서 5235만원까지 큰 격차를 보였다. 성동구가 평당 523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2021년 3778만원보다 38.6% 상승한 수치다.
송파구도 2021년 4095만원에서 2022년 5219만원으로 27.4% 올랐다. 강남구는 2021년 4025만원에서 2022년 4529만원으로 12.5% 상승했다.
가산디지털단지가 위치한 금천구는 2021년 평당 1669만원에서 2022년 1927만원으로 15.5% 상승했다.
누적 매매거래금액 기준으로는 금천구가 약 2011억원으로 가장 컸다. 성동구 1279억원, 구로구 700억원, 영등포구 614억원, 송파구 571억원, 강서구 288억원이 뒤를 이었다.
2021년에는 금천구 2741억원, 송파구 1508억원, 성동구 1349억원, 구로구 932억원, 영등포구 905억원, 강서구 330억원 순이었다.
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지식산업센터는 분양가 및 매매가의 70~80%를 대출로 받을 수 있어 소액 투자가 가능하고, 세제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는 이점으로 인기를 끌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계속된 금리 인상과 함께 공급 과잉으로 매물이 증가하는 효과가 맞물리면서 전년 대비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크게 줄어든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부동산플래닛은 앞으로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상업용 부동산 정보를 지속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