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스타트업? 생활은 치열하게, 헤어짐은 쿨하게

흔한 스타트업의 점심시간, 결혼예찬론자와 연애예찬론자가 만났다.

  • 연애는 무조건 다다익선이야 vs 한 명을 만나도 깊고 뜨겁게 만나면 돼
  • 연애하면서 니가 내 전부다, 너 밖에 없다 떠들면 뭐 하나. 돌아서면 바로 남인데 vs 그냥 돌아서면 남 될 수 있는 게 감사한 일일 수도. 결혼은 싫다고 돌아서도 남이 안 돼. 전 남편으로 떡하니 남잖아. 애까지 있어봐, 이혼하겠냐. 운명이려니 하고 살아야지
  • 결혼 생활은 남녀의 교집합이다 vs 아니, 합집합이지
  • 애가 둘이면 두 배 힘든 거지. vs 모르는 소리, 육아는 제곱으로 가. 둘이면 제곱, 셋이면 세제곱이야.

깔깔대며 남자와 여자, 연애와 결혼에 대한 온갖 갑론을박이 오갔다. 그러다 한결 진지해진 주제. 스타트업의 생리는 연애와 결혼을 묘하게 섞어놨다는 거다.

14223610490_a2c5d38d54_b

스타트업의 생활은 결혼이다.

스타트업을 결혼 생활에 빗대자면 창업자와 팀원들은 부모, 사업 아이템은 자식이 되는 셈이다.

첫 자식(첫 사업 아이템)이 태어나면 우리도(첫 창업자)도 부모라는 걸 처음 겪는다. 아기를 안는 것도 처음이고 씻기는 것도 처음이다. 어떻게 해야 울지 않는지도 처음엔 모른다. 해본 적이 없다고 안할 순 없는 일이다. 내가 좋아서 만든 내 자식이니 무조건 어루고 달래고 끼고 만져야 한다. 어떻게 해줘야 아기가 잘 놀고 잘 자는지, 아기의 모든 표정과 분위기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점차 적응해나가야 한다. 아기(사업 아이템)는 친절히 말로 설명해주지 않으니 말이다. 아기와 나 사이의 치열한 사투인 것.

재미있는 건, 첫 자식을 낳고 키우며 ‘감당 못하겠다, 이건 두 번 다시 못할 짓이다’ 싶다가도 어느 정도 안정기(이를테면 첫째가 뛰어 노는 게 여유롭게 눈에 들어오는 시기, 즉 서비스의 안정화)에 접어들면 둘째, 셋째 계획을 한다는 것이다. 사업 아이템으로 따지자면 서비스2.0 또는 3.0이 될 수도 있고 새로운 아이템이 될 수도 있다. 이때는 조금 익숙하다. 안아주는 것도 달래는 것도 손에 익어 있으니까. 물론 아기마다 타고난 성향이 다르니 같은 상황에서도 다른 반응을 보일 수도 있고 아예 겪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첫 째 때만큼 당황하진 않는다. 부모로서 배포가 생긴 거다.

그러다 막둥이가 태어난다. 이건 내가 4남매 중 늦둥이 막내이기 때문에 확언하건데, 막내는 상황이 키운다. 주변에서 받는 것도 많다. 누구 집에 애가 또 태어났냐며 동네 어른(업계 사람)들이 먼저 알아봐주기도 하고 언니, 오빠(기존 서비스, 혹은 코-웍(co-work)이 가능한 다른 서비스)들이 옷이며 책이며 다 물려준다. 부모 눈에 이런 막내는 뭘 해도 예쁘다. 부모 눈에’만’ 예쁘면 안타까운 일이지만.

스타트업의 헤어짐은 연애다.

그렇게 치열하게 부대끼며 자식 보고 지내다가도 ‘이 사람이 아니다’ 싶으면 이별 외엔 방법이 없는 게 또 스타트업이다. 죽을 만큼 사랑한다 외치다가도 돌아서면 남인 연애인 것. 결혼이야 배우자와의 관계에 문제가 있다고 해도 이혼이라는 선택지는 가장 마지막에 있다. 관계 개선을 위한다는 전제 조건 하에 잠시 각방을 써볼 수도, 별거를 해볼 수 있으니 말이다. 졸망졸망 커가는 자식을 보면서 언제 싸웠는지 모를 때도 있지 않나. 이혼 문턱까지 가더라도 조정기간이란 게 있고 말이다.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에서도 비슷하다. 업무나 팀원이 나와 맞지 않으면 이별을 선언하기 전에 시도할 수 있는 어떤 것들이 있다. 인사 개편을 한다거나 부서 이동을 한다거나 업무를 다시 분담한다거나 말이다. 반면 작은 스타트업 안에서는 내 일에 얘 일이고, 얘 일은 쟤 일이고, 쟤 일이 또 내 일이니 이건 업무분담을 할 수도 인사이동을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냥 무조건 부대끼고 지내야 한다.

더불어 아주 초기부터 함께 해 회사가 어느 정도 성장한 경우, 사람이 변했다는 게 느껴지면 답이 없다. 가난했지만 나만 사랑했던 순애보 남자(혹은 여자)가 잘나가기 시작하면서 허세가 드는 경우다. 허세가 좀 들었다고 해도 서로 통제할 수 있는 정도의 규모라면 내부 합의나 갈등을 통해 조직 문화를 바로 잡아 나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허세 가득한 남자(혹은 여자)의 생각과 행동이 기업 문화로 직결된다. 이럴 때, 남은 사람은 돌아서는 것 외에 선택지가 없다.

이별에 너무 슬퍼할 건 없다. 청춘도 스타트업도 헤어짐에 익숙할 필요가 있으니까. 헤어짐을 겪으며 내가 나아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생각하고, 더 나은 누군가를 만나면서 우리의 삶은 더 깊어지는 것 아닐까.

아무리 이야기해도 결론이 나지 않는 남녀에 대해 떠들다가도 결국 우리 이야기는 ‘기-승-전-스타트업’이었고, ‘생활은 치열하게, 헤어짐은 쿨하게’가 스타트업의 생리라는 게 그날의 결론이었다.

플래텀 기자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중기부, 대기업-스타트업 협력 지원 확대…30개 스타트업에 최대 6천만원 지원

트렌드

‘유니콘의 시대’ 스타트업 영화와 드라마로 읽는 우리 시대의 자화상

트렌드

“당신은 왜 스타트업을 떠나려 하는가”

트렌드

“스타트업 대표는 월급을 받아도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