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2025년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26.5조원 규모의 정책금융 공급 계획을 26일 발표했다. 이는 정책자금 8.3조원과 보증 18.2조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다양한 경영 애로에 신속히 대응하고 성장 유망 기업의 발전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정책자금 지원을 다각화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지원 강화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총 3조 7,700억원으로 책정되었다. 이 중 일반 소상공인 경영애로 완화에 1조 2,200억원, 취약 소상공인 지원에 1조 6,000억원, 유망 소상공인 혁신성장 촉진에 8,500억원이 배정되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성장을 도모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상생성장지원자금이 신설된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확대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4조 5,280억원 규모로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창업기 1조 6,358억원, 성장기 1조 6,936억원, 재도약기 7,501억원, 전 주기 4,485억원으로 구성된다. 특히 수출기업 지원이 전년 대비 약 2,000억원 증액된 3,825억원으로 확대된다.
보증 지원 확대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12.2조원의 신규보증이 제공될 예정이며, 기술보증기금은 6조원의 신규보증을 공급할 계획이다. 지역신용보증재단은 경영성과에 따른 특례보증과 은행 위탁보증 등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고, 기술보증기금은 신산업과 기술 소공인, 청년창업 분야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정책금융 공급 계획을 통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과 성장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특히 취약계층과 유망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여 국가 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정책자금 신청은 소상공인의 경우 1월 2일부터, 중소기업은 1월 2일과 6일부터 각각 시작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