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여성기업, 재무안정성 개선 및 R&D 투자 확대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4년 여성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여성기업들이 전년 대비 경영 안정성과 생산성이 개선되고 수출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여성기업법 제7조에 따라 매년 실시되는 국가승인 통계로, 여성기업의 경영 현황과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5,000개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2023년 기준 여성기업의 부채비율은 123.1%로 전년(135.2%) 대비 12.1%p 하락하며 재무 안정성이 개선됐다. 또한 1인당 평균 매출액은 2.08억원으로 전년(2.05억원) 대비 300만원 증가하며 생산성도 향상됐다.

다만, 수익성과 활동성 지표는 다소 하락했다. 순이익률은 5.1%에서 3.5%로, 자기자본 회전율은 2.2배에서 1.5배로 각각 감소했다.

2023년 여성 중소제조기업은 일반 중소제조기업과 비교했을 때 수익성은 높고(여성 2.7%, 일반 2.4%), 활동성은 같은 수준(2.0배)을 보였다. 그러나 안정성(여성 123.9%, 일반 119.3%)과 생산성(여성 236.2백만원, 일반 314.0백만원)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기업의 성장지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수출 경험률은 1.9%에서 2.4%로,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은 2.6%에서 3.1%로 각각 0.5%p 증가했다.

연구개발 투자 경험률은 4.2%로 전년(4.3%)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평균 투자 금액은 118백만원에서 249백만원으로 111% 대폭 증가했다. 이는 여성기업들이 보다 대규모 R&D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여성 중소제조기업은 일반 중소제조기업보다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여성 4.7%, 일반 8.2%)과 연구개발투자 경험률(여성 12.5%, 일반 31.7%)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에서 여성기업인들은 자신의 가장 큰 강점으로 ‘섬세함'(42.1%)을 꼽았으며, 조직 친화력(30.1%), 책임감/성실성(23.0%)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으로는 ‘도전정신'(38.4%)을 꼽았으며, 외부 네트워킹(25.2%), 혁신성(23.7%)도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남성기업인 대비 여성기업인이 가장 불리하게 느끼는 분야는 ‘일·가정 양립 부담'(36.6%)으로, 이는 여성 기업인들이 직면하는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기업들이 성장을 위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부 지원은 ‘자금지원'(31.7%)으로 나타났으며, 세제지원(29.8%), 인력지원(16.1%), 판로지원(14.8%)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자금지원은 이용 효과에서도 90.8%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공공구매를 통한 정부기관 납품 경험이 있는 기업은 전체의 14.0%로, 이 중 77.0%가 공공구매 의무화 제도가 기업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경영활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는 ‘전반적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51.3%)가 가장 많이 꼽혔으나, 이는 전년(54.6%)보다 다소 감소했다. 반면 ‘인건비·원자재 등 비용증가'(40.6%)와 ‘업체 간 경쟁심화'(38.6%)는 전년보다 각각 1.3%p, 0.9%p 증가했다.

여성기업이 해외진출을 위해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역량은 ‘해외 인증 자격 보유'(59.2%)였으며, ‘해외시장 분석을 통한 제품가격 결정'(56.3%), ‘초기 비용/마케팅 및 세일즈 예산'(55.0%)이 뒤를 이었다.

해외 진출 경험이 있는 여성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한 국가는 미국(43.8%), 중국(28.1%), 일본(27.8%) 순이었으며, 향후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국가도 동일한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 진출 경험이 없는 여성기업들은 베트남(51.6%), 미국(33.9%), 일본(23.6%), 캐나다(19.1%) 순으로 진출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learn about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and tell their stories.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중소벤처·스타트업 AI 우수인재 양성·공급을 위한 정책방향 모색

트렌드 이벤트

‘대기업-스타트업 협력 확대’ 중기부, 7개 대기업과 오픈이노베이션 추진

스타트업

성실경영실패 기업인 동종업종 재창업 시 폐업 기간 제한 폐지

트렌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과서 최초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