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플렉스, 매장용 직원관리 앱 ‘flex mini’ 베타 출시

기업용 올인원 HR 플랫폼을 서비스하는 ‘플렉스(flex)’가 매장용 직원 관리 어플리케이션 ‘플렉스 미니(flex mini)’ 베타 서비스를 출시했다.

flex mini는 매장 기반의 소규모 사업장에 최적화된 모바일 앱이다. 식당, 카페, 편의점, 헤어샵 등 각종 음식점업, 도소매업, 서비스업과 같은 소호(SOHO, Small Office Home Office)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다. 기업 대상 서비스인 기존 flex가 사무직에 최적화된 PC·모바일을 지원한다면, flex mini는 매장직 환경에 부합하도록 모든 기능을 모바일에 담았다.

핵심 기능으로 직원 인사정보 관리, 근무 스케줄 관리, GPS 기반 출퇴근 기록, 근무현황 실시간 확인, 급여 자동계산 등을 제공한다. 소호 매장의 직원 관리는 부정확하고 비효율적인 수기 기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flex mini 활용 시 시간과 자원의 획기적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노무 리스크 예방에도 유용하다. 국내 근로기준법과 세법 등은 계약유형(정규직·계약직·일용직·프리랜서), 근무시간(통상·단시간·초단시간), 급여주기(월급·시급), 고용규모 등에 따라 복잡다단하게 구성돼 있다. flex mini는 최신화된 법과 제도에 맞춰 적법하게 근로계약을 맺도록 가이드하고, 이 같은 인사정보와 GPS 기반 정확한 근태 기록을 바탕으로 급여를 자동으로 계산해 준다.

이번 서비스는 이처럼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디지털 전환을 유도하고, 컴플라이언스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도 의의가 크다.

flex mini는 각종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베타 버전인 만큼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플렉스는 베타 기간 중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해 신속하게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한편, 전자 근로계약 등 기존 flex의 주요 기능을 더해 하반기에 정식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플렉스의 장해남 대표는 “대한민국은 OECD 회원국 중 자영업 비중이 높은데다, N잡러를 선호하는 ‘긱 이코노미(Gig Economy)’도 확산하고 있다”며 “많은 고용주와 근로자들이 자동화·효율화된 인사관리 체계의 사각지대에 있다”고 짚었다. 이어 “다양한 고용형태와 근로환경을 포괄하는 flex mini를 통해 ‘국내 2,200만 근로자의 필수재가 된다’는 플렉스의 미션에 한걸음 다가설 것”이라고 밝혔다.

플렉스는 ‘조직과 구성원이 겪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모든 근로자의 필수재가 된다’는 미션 아래 2019년 설립, 국내 유일의 SaaS형 올인원 HR 플랫폼으로 성장해왔다. 지난해 말 HR을 넘어 재무 영역에 속하는 ‘비용관리’를 출시해 횡적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했으며, 이번 flex mini를 통해 종적으로도 서비스 대상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HR 플랫폼 플렉스, ‘비용 관리’ 서비스로 파이낸스 영역 진출

투자

소셜 데이팅 서비스 ‘플렉스’ 운영사 퍼스트클래스컴퍼니, 투자 유치

투자

HR 플랫폼 ‘플렉스’, 38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쿠팡 투자사 그린옥스캐피탈 리드

트렌드

출장이 잦은 방송사인데 주 52시간 근무, 어떡하죠? (feat. 재량근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