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한국신용데이터, 본사 매출 2.3배 급증

한국신용데이터(KCD)가 2024년 별도 기준 매출 151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3배 성장했다. 경기 하강기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11일 한국신용데이터가 발표한 실적에 따르면,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1,362억 원에서 약 5% 증가한 1,428억 원을 기록했다. 본사 매출 급증은 ‘캐시노트 플러스 멤버십’ 등 구독형 상품 출시가 주요 동력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연결 매출 성장이 5%에 그친 것은 계열사의 비핵심 사업 정리와 포트폴리오 조정에 따른 결과다. 영업손실은 380억 원으로 전년 290억 원 대비 31% 증가했다. 이는 인건비가 245억 원에서 291억 원으로, 주식 보상 비용이 56억 원에서 91억 원으로 늘어난 데 기인한다.

한국신용데이터 관계자는 “2023년 모간스탠리택티컬밸류로부터 1천억 원, 2024년 한화생명으로부터 500억 원을 투자받아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했다”며 “스타트업 업계의 구조조정 속에서도 우수 인재를 공격적으로 영입해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사업 기반도 크게 확대됐다. 캐시노트 도입 사업장은 2023년 말 130만에서 2024년 말 160만으로 증가했으며, 2025년 4월 현재 170만을 넘어섰다. 출시 8년 차 서비스임에도 1년 만에 20% 이상 성장한 것이다. 계열사의 크레딧노트, VAN, PG, POS, 키오스크 등을 도입한 사업장을 합하면 총 250만 곳에 달한다.

한국신용데이터는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 서비스를 연이어 출시하며 소상공인 경영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출시한 ‘AI 비용 자동 분류’ 기능은 사업장 지출 내역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분류해 업무 효율을 높였다.

‘캐시노트 체크포인트’는 170만 사업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권과 매출 비용 효율성을 분석하는 AI 기반 경영 컨설팅 서비스다. 구체적인 매장 운영 방향과 매출 상승 방안을 제시한다.

‘소상공인 데이터 랩’은 기업과 정책당국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분석 서비스로,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지표와 시각화 리포트를 제공한다. 소상공인 패널을 활용한 설문조사 기능도 갖추고 있어 정책과 마케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결제 서비스 영역에서도 혁신을 이어갔다. 자회사 한국결제네트웍스와 함께 출시한 ‘캐시노트 페이’는 별도 POS 기기 없이 스마트폰 앱만으로 실시간 원격 매출 관리가 가능하다. ‘캐시노트 페이 단말기’는 카드 정보 기반으로 단골을 자동 인식하는 ‘단골 알아보기’ 기능과 매출을 다음 영업일에 입금받는 ‘매일 빠른 정산’ 기능을 제공한다.

한국신용데이터 관계자는 “성장 중심 기조와 우수 인재 확보 전략으로 올 1분기에 전년 대비 3배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다”며 “소상공인 사장님들의 사업 모든 순간을 더 쉽고, 빠르고, 똑똑하게 만들기 위해 기술과 서비스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한국소호은행, 제4 인터넷은행 도전…예비인가 신청서 제출

스타트업

흥국생명·화재, 소호은행 컨소시엄 합류

스타트업

LG CNS,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합류

스타트업

제4인뱅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에 메가존클라우드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