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카카오, 국내 최초 MoE 모델 등 AI 언어모델 2종 오픈소스 공개

경량 멀티모달 모델과 효율성 강화 MoE 모델…5월 이어 2개월 만에 추가 공개

카카오가 국내 공개 모델 중 최고 성능의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과 MoE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카카오는 24일 허깅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정보 이해 및 지시 이행 능력을 갖춘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 ‘Kanana-1.5-v-3b’와 MoE(Mixture of Experts) 언어모델 ‘Kanana-1.5-15.7b-a3b’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지난 5월 공개한 언어모델 Kanana-1.5 4종에 이어 두 달 만에 추가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독자적 모델 설계 기반의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한 카카오는 이러한 자체 모델 개발 역량 및 카카오톡 등의 대규모 서비스 운영 경험 등을 토대로 전 국민의 AI 접근성을 높이고, 국가 AI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Kanana-1.5-v-3b’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언어모델로, 지난 5월 말 오픈소스로 공개한 Kanana 1.5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Kanana 1.5는 모델 개발의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카카오의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구축하는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개발됐다.

멀티모달 언어모델인 ‘Kanana-1.5-v-3b’는 이용자의 질문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는 높은 지시 이행 성능과 한국어·영어 이미지 이해 능력을 보유한 것이 특징이다. 경량 모델임에도 이미지로 표현된 한국어와 영어 문서 이해 능력이 글로벌 멀티모달 언어모델 GPT-4o와 견줄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나다.

한국어 벤치마크에서 유사 사이즈의 국내외 공개 모델과 비교한 결과 최고 점수를 기록했고, 다양한 영어 벤치마크에서 해외 오픈소스 공개모델과 비교했을 때도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지시 이행 능력 벤치마크에서는 유사한 규모의 멀티모달 언어모델 대비 128% 수준의 성능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인간 선호 반영 학습과 지식 증류(Knowledge Distillation)를 통해 ‘Kanana-1.5-v-3b’의 성능을 극대화했다. 지식 증류는 고성능의 대형 모델로부터 비교적 작은 모델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경량화된 모델 구조임에도 대형 모델의 높은 성능에 근접하거나 이를 뛰어넘을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도록 돕는다.

‘Kanana-1.5-v-3b’는 이미지 및 글자 인식, 동화 및 시 창작, 문화유산 및 관광지 인식, 도표 이해, 수학 문제풀이 등 여러 분야에서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이날 MoE(Mixture of Experts) 구조의 언어모델도 함께 공개했다. MoE는 입력 데이터 처리 시 모든 파라미터가 연산에 참여하는 기존 모델과 달리,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일부 전문가 모델만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컴퓨팅 자원 활용과 비용 절감이 강점이다.

MoE 아키텍처를 적용한 ‘Kanana-1.5-15.7b-a3b’는 전체 15.7B의 파라미터 중 추론 시 약 3B 파라미터만 활성화되어 동작한다. 카카오는 모델의 학습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자사의 3B 규모의 모델 ‘Kanana-Nano-1.5-3B’에 ‘업사이클링(Upcycling)’ 방식을 적용해 개발했다.

활성화되는 파라미터가 3B에 불과하지만 성능은 ‘Kanana-1.5-8B’와 동등하거나 상회하는 수준을 기록했다. 추론 과정에서 제한된 파라미터만 사용하는 구조적 특성 덕분에 저비용, 고효율 서비스 구현에 유리해 활용도가 높다.

김병학 카카오 카나나 성과리더는 “이번 오픈소스 공개는 비용 효율성과 성능이라는 유의미한 기술 개발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단순한 모델 아키텍처의 진보를 넘어 서비스 적용과 기술 자립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모델의 성능에 집중하는 단계를 넘어 AI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멀티모달 이해 능력, 사용자 지시 수행 능력, 추론능력을 갖추도록 발전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하반기 중에는 에이전트형 AI 구현에 필수적인 추론 모델의 성과도 공개할 예정이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트럼프 “AI에 마르크스주의 광기 원치 않아”…연방 조달서 ‘Woke AI’ 배제

스타트업

한국투자증권, 네이버 AI 음성인식 ‘클로바 스피치’ 금융권 첫 도입

스타트업

달파, 맥락 이해하는 ‘AI 뉴스클리핑 에이전트’ 출시

스타트업

트릴리온랩스, 독자 개발 LLM ‘트리-21B’ 오픈소스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