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2026년 R&D 예산 35.3조원 확정… AI 중심 투자 전환

정부가 2026년 연구개발(R&D) 예산으로 35조 3천억원을 확정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2일 발표했다. 이는 올해 대비 19.3%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로, 특히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투자를 2배 이상 확대하여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다는 정부 의지를 명확히 했다.

과기정통부는 AI 생태계 전반의 독자적 역량 강화를 위해 2조 3천억원(전년 대비 106.1% 증가)을 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AI 모델 개발부터 서비스 제공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주요 투자 분야로는 범용인공지능(AGI) 개발과 경량·저전력 AI 기술, 그리고 대형·중소 데이터센터 간 고성능 네트워크 연동 기술을 통한 ‘AI 고속도로’ 구축이 포함된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과학기술 예산은 1조 1천억원(54.8% 증가)으로 대폭 확대되어 ‘모두가 잘 사는 균형성장’ 실현을 목표로 한다.

이공계 인재 육성에는 1조 3천억원(35% 증가)이 투입되며, 석·박사급 고급인재의 처우 개선과 해외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글로벌 수준의 연봉 및 정착 지원이 포함된다.

민간 기업 R&D 지원 예산은 3조 4천억원(39.3% 증가)으로, 민간 투자 검증을 통한 후속 R&D 지원과 부처 간 경쟁을 통한 우수 기업·기술 발굴에 중점을 둔다.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8조 5천억원(29.9% 증가), 기초과학 생태계 육성에는 3조 4천억원(14.6% 증가)이 각각 배정됐다.

이번 예산 증액은 2023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나눠먹기식 R&D” 발언으로 촉발된 과학계 논란을 마무리하고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실제로 관련 논란 이후 2024년 R&D 예산은 26조 5천억원(9.4% 감소)으로 축소됐으나, 올해 29조 6천억원으로 회복되었고 내년에는 대폭적인 증액이 이루어진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R&D 예산에 대한 오해와 문제점으로 인한 굴곡이 있었으나, 이제 정상적 증가 추세로 복귀한다”고 평가했다.

확정된 2026년 R&D 예산안은 9월 초까지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며, 국정감사와 예산심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번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한국은 AI와 첨단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본격적인 투자에 나서게 되며, 지역균형발전과 인재육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더브이씨, 스타트업 국가R&D 데이터베이스 출시

이벤트

최대 2억원 규모 도약R&D 110개 과제 모집…부처연계 트랙 신설

스타트업

레드브릭, 중기부 R&D 국책과제 선정, AI 게임제작 기술로 글로벌 시장 공략

이벤트

중기부, 지역과 함께 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 R&D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