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 운영 관리 자동화(AX) 솔루션 기업 컨포트랩이 카카오벤처스로부터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김기중 대표가 이끄는 컨포트랩은 제조 현장의 AI 전환을 돕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컨포트랩은 제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영 관리 자동화와 AI 전환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조 현장의 설비와 라인부터 IT 시스템까지 서로 다른 데이터를 통합·표준화해 AI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로 전환한다.
이를 토대로 생산관리시스템(MES), 자산관리시스템(EAM), 품질관리시스템(QM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제조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과 AI 기반 자동화 기능을 통합 제공한다. 중소 공장의 수기 업무와 숙련자 의존형 작업 방식을 AI 기반 품질 추적, 제어조건 AI 추천, 데이터 기반 AI 설비보전 기능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컨포트랩의 핵심 제품은 노코드 기반 AX 플랫폼 ‘포타(PORTA)’다. 포타는 설비·센서 데이터 수집 장비 ‘포타콘(PortaCON)’, 실시간 데이터 통합·분석 ‘포타 뉴로베이스(PORTA Neurobase)’, 웹 기반 노코드 개발도구 ‘포타 스튜디오(PORTA STUDIO)’, AI 에이전트가 통합된 제조 운영관리 시스템 ‘포타 앱(PORTA Apps)’으로 구성된다.
회사 측은 기존 수개월 걸리던 인프라 구축을 3일 이내로 단축하고, 비용도 기존의 5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고 설명했다. 현재 일본 전자부품 제조기업의 한국 공장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비롯해 국내 인테리어 자재 대기업 협력사, 자동차 부품·식품·포장재 등 중소·중견기업에서 포타를 활용 중이라고 밝혔다.
컨포트랩은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제조 현장의 AX 혁신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도입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던 중소기업부터 생산성 강화를 고민하는 대기업까지 고객 접점을 넓혀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김기중 컨포트랩 대표는 티맥스소프트와 두산에너빌리티, SAP 랩스를 거치며 산업용 시스템 솔루션 분야 경험을 쌓았다. 김하나 부대표는 한컴그룹 그룹전략마케팅 출신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이며, 이성근 CTO는 티맥스소프트와 SAP 랩스 출신의 클라우드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다.
김영무 카카오벤처스 심사역은 “컨포트랩은 데이터 엣지 통합을 실현하면서 향후 제조 산업 혁신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며 “공장 운영을 하나의 언어로 묶어내는 객체 온톨로지 시작점으로, 단순 자동화 수준을 넘어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는 기반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기중 대표는 “제조업이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전체의 99%를 차지하는 중소 공장의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컨포트랩은 현장이 필요로 하는 AX 솔루션을 만들고, 한국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제조업의 미래를 설계하는 ‘한국의 팔란티어’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