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트렌드

“한국 플랫폼 글로벌화, 규제 아닌 진흥 정책 필요”

스타트업얼라이언스와 한국방송학회가 22일 그랜드센트럴 오디토리움에서 ‘한국 플랫폼 글로벌화는 무엇을 바꾸는가’를 주제로 공동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 플랫폼을 단순한 콘텐츠 수출 채널이 아닌 산업 전반의 효율성과 문화 생태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을 재조명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용준 한국방송학회 회장은 개회 인사에서 “K-콘텐츠가 한국의 문화적 위상을 높여온 것을 넘어, 이제는 플랫폼이 국격을 높이는 새로운 전환점에 와 있다”며 “한국 플랫폼 기업들은 새로운 생태계를 창출하는 혁신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기대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은 환영사에서 “플랫폼은 진입 장벽이 높고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는 구조적 특성이 있다”며 “투자 자금이 대부분 AI 쪽으로 쏠리면서 신규 플랫폼이 자생적으로 성장해 소상공인과 창작자를 업고 해외로 나아가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세미나에서는 플랫폼 산업의 글로벌화가 제조업 등 전통 산업보다 더 큰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문화적 측면에서도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플랫폼의 해외 진출을 산업 경쟁력 확보 관점에서 바라보고, 규제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진흥 중심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성재 숭실대 교수는 미국과 한국의 상장 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하며 “한국의 플랫폼 산업은 제조업보다 해외 진출 효과가 훨씬 크게 나타난다”며 “디지털 기반의 무형 자산 중심인 플랫폼 사업은 글로벌 확장이 용이하고 네트워크 효과도 빠르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플랫폼 기업의 해외 투자는 단기 수익보다는 기업의 자산 활용 효율성과 시장 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이소은 국립부경대 교수는 웹툰 플랫폼의 글로벌화를 중심으로 플랫폼이 단순한 콘텐츠 유통 경로를 넘어 창작 생태계를 재편하는 문화적 기반 인프라로 작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웹툰 플랫폼의 글로벌 확산은 현지 창작 시장과 규칙을 변화시키며, 창작 인프라와 기술로 기능할 뿐 아니라 그 영향이 다시 한국 웹툰 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서 곽규태 순천향대 교수는 “두 발표는 한국 플랫폼 산업의 글로벌화의 시장 가치를 실증했다는 점, 플랫폼 글로벌 진출의 문화적 가치를 다각도로 이론화하는 작업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김규찬 국립창원대 교수는 “그동안 플랫폼이라고 하면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의미가 강했지만, 이번 발제를 통해 경제적, 문화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들도 나타났다”며 “부정적인 면은 경계하지만, 긍정적인 면을 지속적으로 찾고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상규 강원대 교수는 “웹툰 플랫폼은 자발적 참여를 통해 혁신적 재능에 기회를 제공하고, 동등한 사업 파트너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며 “플랫폼의 글로벌화는 단순한 콘텐츠 수출을 넘어, 협력과 상생이 가능한 생태계 확장으로 이어진다”고 평가했다.

정주연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선임전문위원은 “콘텐츠는 한국이 만들지만, 수익과 영향력은 아마존, 구글과 같은 해외 플랫폼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이제는 플랫폼을 규제의 대상으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산업과 문화의 성장 인프라로 재정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세정 고려대 교수는 “글로벌 진출은 막대한 투자와 시행착오를 수반하는 만큼, 그 도전의 가치를 조명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장기적인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플랫폼의 글로벌 성장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AI 스타트업, ‘투자·규제 혁신’에 기대 집중… 성장 단계별 맞춤형 정책 요구

스타트업

미소 앱 하나로 청소부터 법률상담까지…서비스 1000개 돌파

이벤트 트렌드

“AI 생태계 종속 막으려면 자국 플랫폼이 핵심”

트렌드

스타트업 생태계, 규제 혁신이 시급한 전환점…경쟁력 저하 우려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