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팁스(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는 성장 가능성이 높이 평가되는 스타트업을 정부와 민간 투자사가 함께 발굴해 지원하는 민간 투자 주도형 기술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선정된 기업은 기술적으로 검증되었단 평가를 받는다. 최근 한 달(대외 공개 기준) 다수의 스타트업이 이 프로그램에 선정되었다.
루트파인더즈

디지털 취약계층 전용 포털 플랫폼 개발사 루트파인더즈가 삼성화재의 추천으로 팁스 R&D 일반트랙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선정을 통해 루트파인더즈는 2년간 최대 5억 원의 연구·개발(R&D) 자금과 함께 창업사업화 및 해외마케팅 연계 지원을 통해 약 2억원 규모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루트파인더즈는 현재 시각장애인을 위한 포털 플랫폼 ‘EasyPlus(이지플러스)’를 개발 중이다. EasyPlus는 디지털 취약계층의 미디어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설계되어, 불필요한 광고·팝업을 필터링하고 뉴스·게임·커머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시각장애인 사용자 환경에 맞춰 제공한다.
이번 팁스 선정을 계기로 루트파인더즈는 시각장애인이 음성만으로도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음성 기반 결제 보조기술의 고도화와 상용화를 본격 추진한다. 더불어 EasyPlus를 중심으로 뉴스, 쇼핑, 결제를 아우르는 통합 접근성 경험을 강화해 시각장애인의 디지털 금융 접근성과 이용 안전성을 동시에 높일 계획이다.
루트파인더즈 김종국 대표는 “팁스 선정을 통해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전개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미디어 이용을 넘어, 누구나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모바일 결제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BHSN

리걸AI 솔루션 앨리비(allibee) 운영사 BHSN(비에이치에스엔)이 스케일업 팁스에 선정됐다.
BHSN은 방대한 법령·판례·정책 데이터를 학습한 법률 특화 LLM ‘앨리비 아스트로(allibee astro)’의 기술력과 아시아 시장 대상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 역량을 인정받아 스케일업 팁스 프로그램에 선정, 향후 3년간 최대 12억 원의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받게 됐다.
이번 사업을 통해 BHSN은 앨리비 아스트로의 멀티모달 기능을 강화해 법률 및 정책 문서에 포함된 도표·도식 등 복잡한 시각 정보를 정밀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앨리비 비즈니스 에이전트’에 멀티 에이전트(Agent to Agent, A2A) 기술을 도입하며 능동적으로 사고·연계하는 종합형 에이전트로 고도화할 방침이다.
BHSN은 AI 기반 리걸테크 기업으로 자체 개발 LLM ‘앨리비 아스트로’를 탑재한 리걸AI 솔루션 ‘앨리비’를 운영하고 있다. 앨리비는 계약 관리부터 법무 자문·송무, 법령·판례·규제·정책 데이터 분석까지 법무를 포함한 기업의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업무 전반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BHSN 임정근 대표는 “이번 스케일업 팁스 선정으로 LLM을 포함한 자체 AI 기술력과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며 “리걸AI의 기술 고도화와 능동형 에이전트 개발을 통해 기업의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베트남 등 아시아 중심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BHSN은 CJ제일제당, 한화솔루션, 애경케미칼 등 국내 유수의 대기업에 앨리비를 공급하며 계약서 검토 시간을 67% 이상 단축시키는 등 리걸AI의 실효성을 입증한 바 있다.
유어케이스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하나미치(Hanamichi)’를 운영 중인 유어케이스가 팁스에 선정됐다.
유어케이스는 스타트업 투자 전문 액셀러레이터이자 팁스 운영사인 씨엔티테크의 추천을 통해 선정되어, 향후 2년간 최대 7억원의 연구개발 자금 및 사업화와 마케팅 자금을 지원받는다.
2024년 한국을 찾은 외국인은 약 1,640만 명에 달하며 이 중 일본인 방문객은 약 322만명으로, 최근 5년간 280%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일본인 방문객 중 약 70%에 달하는 이들이 젊은 층 여성으로, 이들은 단순 관광이 아닌 통신, 숙박, 뷰티, k-pop 등 각종 라이프스타일까지 연결된 ‘체류형 소비’를 경험하고자 한다.
이에 유어케이스는 단순 통신 개통 서비스를 넘어, 체류 기간, 국적, 비자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외국인 통신 정책에 고객 맞춤형 상담 AI 챗봇을 도입하여 개인화된 AI 챗봇 기반 맞춤형 통신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유어케이스 전은희 대표는 “한국을 찾는 외국인에게 통신은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한국 생활의 첫 관문”이라며, “AI 기술을 통해 복잡한 절차와 언어 장벽을 허물고, 더 많은 외국인이 한국에서 편리하고 즐겁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유어케이스는 이외에도 기술력과 미래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아, 2024년 디딤돌 R&D지원 사업과 2025년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선정되었고, 지난 9월 헥토콘 2호 투자조합과 조이시티-씨엔티테크 제1호 투자조합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BLT칼럼] 아이온큐가 특허로 '기술 신뢰도'를 쌓은 법 : 양자컴퓨팅 시대, IP 전략 제시 8ee48ae3a3a11](https://platum.kr/wp-content/uploads/2025/10/8ee48ae3a3a11-150x150.png)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