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회계법인 마일스톤의 스타트업 CFO Case Study] K-IFRS와 K-GAAP: 기업 성장 단계별 필수 회계기준 이해와 차이점

K-IFRS와 K-GAAP, 기업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회계기준의 차이

기업에게 회계는 단순한 숫자 관리가 아닌, 경영의 언어이자 신뢰의 기반입니다. 투자자, 금융기관, 정부기관 등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은 결국 회계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과 원칙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기업이 적용할 수 있는 회계기준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입니다.

대부분의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은 초기 단계에서 K-GAAP을 적용합니다. K-GAAP은 실무 중심의 규정(Rule-Based) 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공정가치 평가나 연결재무제표 작성이 요구되지 않아 인력·시스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즉,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무보고에 적합한 기준입니다.

반면, 기업이 성장하여 상장(IPO)을 준비하거나, 외부감사 강화, 금융기관 대출, 정부 인허가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시점에는 K-IFRS의 적용이 불가피해집니다. K-IFRS는 국제회계기준(IFRS)을 한국이 채택하여 도입한 제도로, 기업의 재무정보를 보다 투명하고 비교 가능하게 공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K-IFRS 전환의 재무적 의미와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

K-IFRS로의 전환은 단순히 회계방식을 바꾸는 절차가 아닙니다. 재무제표의 구조, 부채비율, 손익규모, 기업가치 산정 방식 등 전반적인 재무지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이 자주 발행하는 RCPS(상환전환우선주)의 경우, K-GAAP에서는 전액을 자본으로 처리하지만, K-IFRS에서는 상환 의무 등 계약상 의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금융부채로 분리 인식해야 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자본잠식이나 부채비율 상승 등 재무적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K-IFRS에서는 리스자산과 리스부채를 모두 인식하고, 무형자산은 개발단계 요건을 충족해야만 자산으로 계상할 수 있으며, 공정가치 평가와 손상검토가 주기적으로 요구됩니다. 결국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아니라 ‘경제적 실질’이 강조되는 구조입니다. 주요한 차이를 표로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

요약하자면 K-GAAP은 실무 효율성, K-IFRS는 투명성과 신뢰성을 중시합니다.

초기 스타트업 단계에서는 K-GAAP이 현실적이지만, 기업이 외부감사 대상이 되거나 상장을 준비하는 시점에는 K-IFRS 전환을 통해 회계의 일관성과 재무적 신뢰도를 확보해야 합니다.

회계기준의 선택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넘어, 기업의 성장 단계와 전략적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경영 의사결정이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꼭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저자 소개 : 회계법인 마일스톤
저자 블로그 : 회계법인 마일스톤 공식 블로그

마일스톤은 스타트업을 위한 회계법인입니다. ‘사업의 시작부터 기업의 정점까지’, 젊고 열정적인 구성원들은 스타트업이 직면하는 다양한 이슈와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합니다. 스타트업 초기부터 엑시트까지 단계별 재무 이슈와 관리 팁을 담은 ‘J커브를 위한 스타트업 재무 가이드북’을 발간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회계법인 마일스톤의 스타트업 CFO Case Study] 비상장주식 평가 시 자기주식, 어떻게 반영해야 할까

트렌드

[회계법인 마일스톤의 스타트업 CFO Case Study] 영업권이 무엇인가요?

Uncategorized

세무 AI 챗봇 ‘비즈넵 세나’, 누적 이용자 150만 명 돌파

스타트업

비즈넵, 누적 가입 사업자 300만 명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