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 성장세 뚜렷…연기금·공제회 출자 역대 최대 규모

국내 벤처투자 시장이 2022년 이후 3년 만에 본격적인 반등 국면에 진입했다. 투자 규모와 펀드 결성 실적이 동반 성장하며 시장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13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벤처투자 및 펀드결성 동향’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신규 벤처투자는 9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벤처펀드 결성 규모는 9조7000억원으로 17.3% 늘었다.
특히 3분기 벤처투자 실적은 4조원을 기록하며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단일 분기 기준 4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전 분기 대비 32%,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수치다.

업력별 분석 결과, 창업 7년 이내 초기 기업과 후기 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가 모두 13.1% 증가하며 균형잡힌 성장세를 보였다. 기업 성장 단계 전반에 걸쳐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다.
2022년부터 감소세를 보이던 벤처펀드 결성이 3년 만에 반등세로 전환한 점이 주목된다. 민간 부문 출자가 전체의 83%를 차지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연기금과 공제회의 출자액은 837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벤처투자 시장의 자생력이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중심의 성장이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지역별 투자 동향도 긍정적이다. 올해 1~3분기 1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비수도권 기업은 13곳으로 집계됐다. 셀락바이오, 트리오어, 소바젠 등 바이오 기업 5곳과 라이온로보틱스, 넥센서 등 전기·기계·장비 분야 기업 5곳이 포함됐다.
이들 기업은 높은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대형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도권 집중 현상이 다소 완화되며 지역별 투자 생태계가 다변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벤처투자와 펀드결성 규모가 모두 두자릿수 성장한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라며 “특히 비수도권에서 바이오, 로봇 등 다양한 산업이 성장하고 있어 산업 저변 확대를 위한 지방 투자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러한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연내 ‘(가칭) 벤처 4대강국 도약 방안’을 마련, 벤처투자 시장 40조원 조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국내 벤처투자 시장은 2021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후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로 조정 국면을 겪었다. 이번 통계는 시장이 본격적인 회복 궤도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스타트업 탐방] 오후 5시, 자리는 비었지만 일은 계속되는 회사… 하이퍼커넥트 DSCF6818](https://platum.kr/wp-content/uploads/2025/11/DSCF6818-150x150.jpg)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