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라미’ 운영사 딜라이트룸이 호흡 소리 분석 기반 수면 무호흡증 탐지 기술에 대한 연구 논문을 수면 관련 국제 학술지 ‘네이처 앤 사이언스 오브 슬립’(Nature and Science of Sleep)에 발표했다.
딜라이트룸 연구진은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모델을 활용해 마이크 센서만으로 수면 무호흡증을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애프니어위스퍼’(ApneaWhisper)로 명명한 해당 기술은 수면 중 호흡 중단, 코골이, 가쁜 숨소리 등 증상을 80% 이상 정확도로 포착한다. 이는 기존 탐지 모델(MFCC, VGGish) 보다 최대 23% 높은 수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한 수면 중 호흡 장애를 구성하는 4개 요인(폐쇄성, 중추성, 복합성, 저호흡)을 인식해 질환 유형까지 분석할 수 있다.
딜라이트룸은 올해 호흡 소리 분석 기술 개발에 역량을 투입해왔다. 외부 소음, 뒤척이는 소리 등 잡음 환경에서도 기능하는 ‘레스파이어세그넷’(RespireSegNet)을 1월 발표했으며, 10월에는 이를 기반으로 수면 단계를 90% 수준 정확도(오차 범위 10% 이내)로 분석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딜라이트룸은 이번 논문 결과를 통해 수면질 측정 및 병리적 증상 분석 기술 역량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딜라이트룸 신재명 대표는 “이번에 개발한 수면 무호흡증 탐지 기술은 무호흡 횟수뿐 아니라, 증상 발현의 지속 시간과 유형을 측정할 수 있어, 예후 전망이나 위험군 분류 등 의료적 분석이나 연구에 참고할 수 있다”며, “고가 장비가 필요한 기존 수면 검사 방법론을 벗어나, 일반 가정에서도 스마트폰이나 마이크 만으로 수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실험”이라고 말했다.



![[BLT칼럼] 엔젤투자의 3가지 즐거움 1114b3aee2b12](https://platum.kr/wp-content/uploads/2025/11/1114b3aee2b12-150x150.png)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