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글로벌

일레븐랩스, 한국 공식 진출… “K-콘텐츠 및 AI 생태계 기여할 것”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CEO 방한… “0.5초 미만 지연속도 AI 에이전트 플랫폼 소개”

홍상원 한국지사장 “한국, 아시아 음성 AI 허브로 육성… K-콘텐츠 글로벌화 지원”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공동창업자 겸 CEO

영국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AI) 오디오 연구 및 개발 기업 일레븐랩스(ElevenLabs)가 한국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일레븐랩스의 마티 스타니셰프스키(Mati Staniszewski) 공동 창업자 겸 CEO는 21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업 소개 및 AI 기술 상용화 과정, 미래 비전을 발표했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일레븐랩스는 기술에 목소리를 부여하고 에이전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음성 AI 기업”이라며 “현재 5,000만 명 이상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 66억 달러의 기업 가치 평가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포춘 500대 기업 중 75%를 포함해 EST, 크래프톤, 네이버 등의 국내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고 회사를 소개했다.

일레븐랩스의 기반 모델은 음성 합성, 오디오 제어 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주요 기술로는 TTS(음성 합성), STT(음성 인식), AI 더빙, 보이스 클로닝, 음성 분리 등이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AI 에이전트 플랫폼’이 소개됐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 플랫폼은 0.5초 미만의 지연 속도로 7,000개 이상의 보이스와 32개 언어를 지원한다. 또한 CRM, 결제, 전화 시스템 등 워크플로우와 연동되어 문제 해결 및 매출 창출을 지원하며, 보안 및 규제 기준을 준수한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일레븐랩스의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도입한 디지털 은행의 경우 에이전트 처리 시간이 85% 단축되고, 신용카드 관련 문의의 50%를 AI가 처리하는 성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델 고도화로 스트리밍 지연시간이 감소하고 LLM 추론 속도가 향상되어 지연시간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홍상원 일레븐랩스 한국지사장은 한국 시장 진출 배경에 대해 “한국 대기업의 65.1%가 AI를 도입했고, 정부는 2026년 AI 분야에 10조 1천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며 “높은 모바일 인터넷 보급률과 5G 인프라 등 한국 시장의 혁신 수용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홍 지사장은 한국 시장의 핵심 영역으로 K-콘텐츠의 글로벌화와 고객 경험 재창조를 꼽았다. 그는 “Eleven v3는 70개 이상 언어를 지원하며 원작의 감정과 뉘앙스를 재현한다”며 “화자 자동 분리, 타임라인 편집 등을 통해 더빙 제작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일레븐랩스는 딥페이크 악용 및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해 ‘3C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 이는 Consent(동의), Control(통제), Compensation(보상)으로 구성되며, 검증 단계와 추적 시스템, 수익 창출 생태계를 포함한다.

홍상원 지사장은 MBC C&I, 이스트소프트, 크래프톤, SBS 등 국내 고객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이 아시아 보이스(Voice) AI의 허브가 될 수 있도록 한국 고객들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트렌드

“직장인 99% AI 쓰지만…핵심 역량은 ‘결과물 판단력'”

스타트업

당근, AI 에이전트로 중고거래 사기 방지 시스템 강화

스타트업

아콘랩스, AI 에이전트 런치패드 ‘카이아펌프’ 베타 서비스 출시

스타트업

빅크, AI 에이전트 ‘빅크 AI+’ 베타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