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핀테크산업협회가 21일 오후 서울 마포 프론트원 세미나실에서 ‘핀테크 AI 협의회 세미나’를 열고, 금융산업의 AI 활용 확대에 따른 제도적·윤리적 쟁점과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금융사 및 AI 업계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는 지난 7월 출범한 핀테크 AI 협의회의 두 번째 행사로, 이혜민 신임 협의회장(핀다 대표)의 취임과 함께 협의회 운영이 본격화되는 자리였다.
이혜민 협의회장은 취임사에서 “AI는 이제 산업 구조 자체를 바꾸는 신성장동력”이라며 “국내 핀테크 업계도 기술력은 충분하지만, 제도적 장벽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혁신이 가로막히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핀테크와 전통 금융기관의 유기적 협력 구조가 절실하다”며 “협의회는 단순히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들고 싶은 미래 금융을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금융분야 AI의 책임 있는 혁신을 위한 감독 방향’ 발표를 통해 AI 혁신 인프라 구축, 데이터 활용 활성화, 규율 체계 정비 등 4대 감독 원칙을 제시했다. 망분리 규제 합리화와 금융 특화 말뭉치 구축 등의 과제도 소개했다.
채상미 이화여대 교수는 ‘AI 대전환 시대, 핀테크 산업의 대응 전략’ 발표에서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금융의 의사결정 인프라”라고 강조하며, ‘Accountability by Design(설계 기반의 책임성)’을 키워드로 투명성과 기록성을 갖춘 AI 거버넌스 체계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김진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AI 특허 분석을 통한 금융 AI 동향과 가능성’ 발표에서 AI가 자문 및 자산관리 등 정형 데이터 기반 업무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뉴스 분석, 포트폴리오 추천, 리스크 관리 등 다양한 특허 사례를 소개하며, 고위험 업무나 데이터 접근성이 낮은 분야에서는 도입이 제한적인 만큼 제도적 지원과 실증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근주 협회장은 “AI는 이제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의 ‘선택’이 아닌 ‘핵심 경쟁력'”이라며 “기술 발전에 비해 제도와 규제가 뒤처져 있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협의회를 중심으로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협회는 향후에도 핀테크 AI 협의회를 중심으로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 당국과 긴밀히 협력해 지속 가능한 혁신 환경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