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과 삼성 등이 주도하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중국기업들이 약진하는 중이다. 기존 플레이어인 화웨이나 ZTE, 레노버 등이 점차 세력을 넓히는 중이고, 샤오미와 같은 기업이 이 대열에 가세했다. 이들은 세계 시장의 양대산맥인 애플과 삼성의 아성을 위협하는 중으로 지난해와 올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 선보여진 스마트폰 수준은 플래그쉽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목할 점은 앞서 언급한 기업들 외에도 떠오르는 제조사들이 다수 있다는 것이다. 그중에 제조업 실리콘밸리라 불리우는 중국 심천지역을 기반으로 성장중인 메이주는 눈여겨봐야할 메이커다.
세간에서는 메이주를 가르켜 ‘제2의 샤오미’라 칭하지만, 메이주는 샤오미보다 앞서 스마트폰을 개발해 출시한 기업이다. 2003년 MP3 플레이어 회사로 시작해 주목을 받은 메이주는 2006년 스마트폰 기업으로 전환해 2008년부터 스마트폰(MX 시리즈)를 출시하고 있다. 최근 주력 상품으로는 지난해 9월에 출시한 MX4와 11월에 선보인 MX4 Pro가 있다.
메이주는 중국시장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진출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진 기업이기도 하다. 이러한 확장성과 가능성을 인정받아 메이주는 지난 2월 10일 알리바바 그룹으로부터 5억9000만달러(약 6461억원)를 투자유치하기도 했다.
2014년 중반까지 메이주 전략은 ‘1년에 1가지 제품 출시’로 애플의 전략과 같았다. 하지만 2014년 하반기부터 복수의 하이엔드 제품과 로우엔드 제품을 출시하는 전략으로 전환한다. 하이엔드 제품군에 MX4와 MX4 Pro가 있다면, 로우엔드 제품으로 1000위안(한화 17만 원) 전후의 메이란 노트(魅蓝 Mei Lan, 글로벌 제품명 M1 Note)를 출시한 상황이다. 참고로 ‘메이란’은 메이주의 서브 브랜드로 젊은 세대를 겨냥하는 저가 보급형 모델이다.
더불어 스마트폰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최근 메이주는 에어컨, 냉장고, 체중계, 스마트워치, 공기청정기, 탁상용 시계 등 여러 제품군의 개발 및 출시를 준비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궁극적으로는 ‘커넥트 메이주(Connect MEIZU)’로 명명된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를 개발중이기도 하다. 각설하고.
메이주의 최신기종이자 글로벌 진출 기종이라 할 수 있는 ‘MX4 PRO(MX4 프로)’를 입수해 순서대로 다뤄보기로 한다.
입수한 MX4 PRO의 박스다. 차후 정식 출시되었을 때의 패키징과는 달라질 수 있겠지만,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것으로 보인다.
앞서 말했듯이 메이주의 최신모델인 ‘MX4 PRO’는 현재 중국에서만 판매되고 있는 기종이다. 하지만 이번에 입수한 모델은 글로벌 버전으로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킷캣(KitKat, Android v4.4.4)이며, 메이주 자체 커스텀롬 플라이미 4.0(Flyme 4.0)이 적용되어 있다. 중국의 대다수 휴대폰 메이커들은 자체 커스텀롬을 가지고 있다.
사양은 5.5인치 정전식 스크린 방식이며, 멀티터치 및 지문인식 기능이 제공된다. 가격은 홍콩달러 기준 16기가 모델이 3299달러(한화 42만원), 32기가 모델이 3549달러(한화 49만원)에 책정되어 있다. MX4(출시가 29만원 선)에 비해 가격이 대폭 상승했음에도 여전히 타기업 동종제품군에 비해서 저렴하다. 더불어 글로벌 버전의 경우 샤오미보다는 고가의 가격정책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
박스를 열었을 때 좌측에 충전기가 위치하며, 우측에 하드커버로 된 사용설명서가 보인다. 하드커버 안에 MX4 PRO 본체가 들어있다.
하드커버를 들어내면 내부에는 충전 케이블이 있다. 별도의 이어폰 수납공간이 있지만, 입수한 제품에는 별도의 이어폰이 제공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렇듯 구성품은 단촐하다.
화면보호 필름이 붙어있는 MX4 프로의 전면 외형이다.
전반적으로 깔끔하다는 인상을 준다. 재질로 매탈 재질이기에 디자인 측면에서 후한 점수를 줄 만하다. 배터리 포함 무게는 158g이다.
MX4 프로 상단 외형이다. 전원버튼과 3.5mm 이어폰 단자가 보인다.
디바이스 하단은 홈버튼과 자체 스피커 및 충전 단자가 위치해 있다.
후면 외형이다. 디바이스 하단에 메이주 로고가 붙어있으며 깔끔하게 마감이 되어 있다. 다만 외형 재질이 미끄러워 손에서 미끄러질 확률이 높다. 그립감이 썩 좋은 편은 아니란 이야기다.
후면 케이스를 열면 보이는 MX4 프로의 모습이다. 상단에 유심을 넣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방열판이 보인다. 별도의 외장 메모리는 지원하지 않는다. 배터리는 일견 탈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3,350mAh이다.
카메라 렌즈는 후면 CMOS 2,070만화소(5248×3936), 전면 CMOS 500만화소(2592×1944)로 구성되어 있다. 화질은 나쁘지 않으며 다양한 보정기능이 있기에 별도의 카메라 어플을 사용할 필요는 없어보인다.
최초 디바이스를 켜면, 언어선택(기본 영어)을 할 수 있고, 와이파이 연결 및, 메이주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각 모델마다 플라이미 계정생성은 1개로 제한되며, 초기화도 별도의 과정(전원 off상태에서 전원버튼과 볼륨버튼을 누르는)이 필요없다. 설정에서 터치 몇 번으로 가능하다.
기본 설정을 마치면 뜨는 첫 화면이다. UI가 깔끔하다.
MX4 프로 글로벌 버전의 핵심은 바로 구글 플레이가 된다는 것이다. 메이주 자체 마켓(앱센터, AppCentter)도 기본앱으로 깔려 있지만, 중국어로만 서비스 된다.
다음 리뷰에서는 MX4프로의 UI 및 성능에 대해 다뤄보기로 하겠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