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샤오미, WIS … 웨이보를 통해 브랜딩에 성공한 기업들

米粉节-300x148

최근 웨이보에서 진행한 샤오미 #米粉节# 해시태그 페이지

뉴미디어 시대이자 인터넷 제품의 버티컬화, 정보의 분산화, 채널의 분산화가 되고 있는 추세다. 대중의 니즈를 이해하고 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소셜 채널을 통해 팔로워를 모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009년 웨이보가 탄생한 이래 다수의 중국 기업들이 웨이보를 통해 브랜딩을 이루었으며, 지금도 여전히 기업 인지도와 노출도를 높이며, 팬들과의 소통을 하는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다. 심지어 웨이보 플랫폼을 기반으로 탄생한 기업이 있을 정도다.

좁쌀죽을 먹으며 창립했다는 중국의 대표적인 혁신기업 ‘샤오미’는 팬 경제를 일으킨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샤오미는 창업이후 불과 5년만에 460억 달러라는 기록적 기업가치를 이루었다. 이러한 샤오미의성장에 웨이보가 지대한 영향을 끼친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샤오미 운영팀은 각종 이슈, 이벤트, 각종 프로모션을 웨이보 기반으로 진행해 샤오미의 인지도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까지 확산시켰다.

팬들의 적극적인 지지하에 샤오미는 스마트폰에 이어 체중계, 멀티탭, 공유기까지 제품군을 늘리고 있다. 특히, 얼마전 웨이보에서 진행된 미팬의날(米粉节)에는 이벤트 오픈 3시간만에 10억위안 (한화 약 1800억원)이라는 결제금액을 달성하기도 했다.

만약 샤오미가 처음 웨이보를 활용한 세일즈를 하지 않았다면 오늘날과 같은 성과는 없었을 것이다. 샤오미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샤오미가 성공적으로 팬경제의 힘을 보여줬다는 것과 웨이보가 오늘날의 샤오미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wis

웨이보에서 화제가 된 기능성 화장품 WIS

중국에서 ‘화장품 업계의 샤오미’라고 불리는 WIS(중국명칭:维希) 는 2012년에 설립되어 현재 타오바오 뷰티 랭킹 TOP 20, 연매출은  1억위안 (약 180억위안)이 넘는다. 무명이었던 WIS가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이럴 마케팅과 뉴미디어를 들 수 있다. 현재 WIS는 350만명의 웨이보 팬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렇게 보유한 팬을 기반으로 한 이벤트는 매 번 10만위안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성적 뒤에는 자유로운 이벤트와 프로모션이 가능한 웨이보가 있었다.

WIS는 프로모션 초기 천만위안(한화 약 18억) 상당의 ‘무료 상품 증정’과 웨이보 광고 상품 펀스통의 지속적인 운영, 팬들의 피드백에 따라 @WIS护肤 @WIS @小希商城(공식몰 계정) 등 다양한 계정을 만들어 운영해왔다. 이러한 조치들에 투입된 예산은 많았지만, 매출액과 팬확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게된 것이다.

듀렉스 또한 웨이보를 통해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는 브랜드다. 소비자들에게 민감한 이슈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애정, 섹시함, 안전함, 패션’ 이라는 재치있는 키워드로 표현해 대중들이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했다. 웨이보에서 팬들과 소통을 위해 듀렉스는 아침, 저녁으로 CS전담직원을 배치하여 팬들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직접 만드는 다양한 크레에이티브 컨텐츠를 유저에게 전달했다. 이에 팬들은 듀렉스의 이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시에 듀렉스 팀을 도와 프로모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주요 소스가 되기도 했다. 더불어 듀렉스 계정이 외부로 부터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거나 공격을 받았을 때 팬들이 먼저 나서 대변하고 보호해주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만약 듀렉스가 TV광고, 잡지, 신문 광고를 통해 선전했다면 지금과 같은 팬을 확보할 수 있었을까?

이러한 위의 사례 외에도 다양한 중국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웨이보의 강력한 힘을 알 수 있다.

미디어 속성의 플랫폼이라는 장점

웨이보의 1.7억명이라는 월간 유저수는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기 충분한 숫자다. 더불어 미디어 속성을 가진 웨이보는 제품 발표, 이벤트 프로모션에 적합하다. 또한 모두에게 공개된 플랫폼 특성상 커버할 수 있는 유저가 더 많다는 장점도 있다. 빠른 속도로 바이럴되는 웨이보의 특성은 기업이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훌륭한 인터랙션

웨이보 유저들은 이벤트 혹은 포스팅에 댓글, 엣(@), 해시태그(#) 등 방식을 통해 기업들과 소통한다. 위에 언급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 팬들과의 인터랙션은 피드백수집, 팬들의 충성도를 높이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중국공략? 소셜 마케팅에 투자하라!

‘누적 팬 증가→유효한 팬들의 전환→팬 충성도 상승→팬2차 바이럴→팬증가’는 기업들이 팬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방향이다. 소셜미디어에 예산 투입을 걱정하는 기업들은 아직 중국의 팬 경제 및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소셜마케팅을 통해 확보된 팬은 전환율 또한 매우 높다. 초기에는 투입금액이 비록 많아보일지 모르지만, 2차 혹은 여러번의 바이럴이 진행될 수록 기업의 프로모션 예산은 계속 줄어들게 된다. 웨이보 운영에서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좋은 제품 퀄리티와 진심이 담긴 팬들과의 소통, 팬의 확보다.

현재 웨이보는 바이럴, 판매, 인터랙션 등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이렇듯 기업의 소셜 마케팅에 있어 웨이보는 주요한 플랫폼이다. 중국에서 브랜딩을 고려하는 기업이라면 기억해 둬야 한다.

Founder, Weikorea 한국과 중국을 이을 수 있는 창문, 그 창문이 IT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소셜 마케팅, 데이터 분석,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Uncategorized

아도바X웨이보, ‘웨이보 왕홍과 함께 K를 즐기다’ 프로젝트 개최

글로벌 이벤트

‘바이트댄스, 바이두, 아이치이, 콰이쇼우, 시나” 中 플랫폼 기업을 찾아간 韓 스타트업들

글로벌 이벤트

중국서 위챗이 없다는 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트렌드

[8월 3주차]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 &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