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P2P 대출, 스마트한 빚테크 수단으로

최근 P2P 대출 서비스가 스마트한 빚테크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연 4.5%~15% 의 중저금리 대출 시장을 열어 주었기 때문이다. 이자율 5% 이하의 은행권 대출을 받지 못하는 경우 20% 이상의 이자를 내야 하는 카드론이나 저축은행,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받아야 했던 대출자들에게 P2P 대출 서비스가 제시하는 중저금리 대출은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P2P 금융 기업 렌딧이 서비스를 시작한 올 5월8일부터 11월30일까지 약 6개월 간의 대출 고객 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체 대출 고객 262명 중 47%에 해당하는 124명이 대환 용도로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1 참조> 이들이 받은 대환대출 금액은 총 20억2천575만223원으로, 1인당 평균 금액은 1천633만6,695원이다. <그림 2 참조>

124명의 대환대출 고객이 대환 전 부담하던 평균금리는 20.57% 수준으로, 이 중에는 A씨와 같이 법정 최고금리인 34.9%를 내고 있던 고객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이 렌딧을 통해 기존 대출을 대환하며 제공 받은 평균 금리는10.67%로,  평균 9.9%p가 감소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3 참조>

이를 2년 약정,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실제 납입한 이자비용을 환산해 보면, 124명의 대환대출 고객이 대환 전에 부담해야 했던 이자비용은 2년 간 모두 4억6천만원. 그러나 렌딧을 통해 대환한 후에는 2년 간의 이자비용이 2억3천만원으로 감소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1인 당 평균 185만원의 이자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셈이다.<그림 4 참조>

이자비용을 가장 많이 절약한 사례는 저축은행에서 28.4%의 이자율로 2,200만원을 대출 했던 고객으로, 렌딧에서 이자율 9.74%로 대환 받아 총 485만원의 이자비용을 절약하게 되었다. <그림 5 참조>

렌딧의 김성준 대표는 “제 2, 3 금융권 대출 이용자 중 상환 능력이 충분히 검증되는 고객을 대상으로 대환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며, “다양한 심사 기법 도입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심사 모델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어 앞으로 더 많은 고객들이 금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채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5월 서비스를 시작한 렌딧은 12월 11일 현재 서비스 시작 7개월 만에 누적 대출 금액 50억원을 넘어서며 빠른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

len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렌딧·루닛·자비스앤빌런즈 등 스타트업 주축 ‘U-Bank 컨소시엄’, 제4인터넷은행 도전

투자

온투업 1호 ‘렌딧’, H&Q Korea로부터 504억원 투자 유치

스타트업 트렌드

‘렌딧, 8퍼센트, 피플펀드’ 온라인투자연계금융 1호 등록 기업 되다.

스타트업

렌딧, 투자자 누적분산투자 1,500만건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