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트렌드

소셜 네트워크로 세상을 바꾼 사람들 – 경험의 DNA가 스타트업을 만들어간다

‘소셜 키워드’로 비즈니스도 해보고, 블로거 입장에서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생태계를 경험해보고 있지만 막상 글로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만들어내고 생태계의 첫 삽을 뜬 창업자(Founder) 들의 이야기는 접해보지 않았었다. 그도 그럴것이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 이야기만을 책과 영화로 접했을뿐, 트위터의 공동 창업자 이야기, 링크드인의 이야기, 그루폰의 앤드루 메이슨 등의 뒷 이야기들은 전혀 몰랐다. – 본 글은 필자의 블로그 글과 동일하게 발행된 글임을 밝힙니다. –

하지만 이러한 모든 이야기를 모두 묶어서 가장 기본으로 돌아가 읽어보면 좋은 책 한권이 출간이 되었다. 제목 그대로의 진솔한 비즈니스 이야기 부터 서비스가 나오기 까지 겪어야만 했던 실리콘밸리 스토리가 모두 정리되어 있던 책이다.

바로 <소셜 네트워크로 세상을 바꾼 사람들>.

소셜 네트워크로 세상을 바꾼 사람들: Startup DNA

역사를 알면, 소셜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더 큰 재미가 보인다.

플래텀을 공유하는 첫번째 서평인것 같다. 그리고 현 시대의 주요 키워드로 불리우는 ‘스타트업’ 이슈를 접하는데 중요한 경험이었던 것 같아 간략하게나마 책에 대한 느낌을 적어본다.

우리가 접하고 있는 트위터 – 페이스북 – 포스퀘어 – 링크드인 – 그루폰. 정작 모르는 분들이 계시다면 아마도 50% 정도, 이미 모든 서비스를 다 이용한 사용자들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대한 채널 이해도 있고 잘 활용하고 있지만 서비스가 있기 전의 A to Z를 알면 더욱더 흥미로워 지는 것이 <소셜 네트워크로 세상을 바꾼 사람들>에서 전하는 비하인드 스토리다.

흔히들 그렇게 말한다. 날벼락 처럼 다가온 기회를 잘 잡은 것이라고 … 맞는 말일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는 정말 대박 행운의 기회가 되어 매우 큰 인수 금액에 오랜 시간 동안의 노력이 대박의 성공 결과물로 출세로 이어진다고 하지만, 글로벌 차원의 실리콘 밸리의 이야기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현재의 페이스북은 IPO로 인해서 가치평가의 큰 시시비비가 있지만, 공식 서비스 런칭이후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도 마크 주커버그는 자신이 목표로, 비전으로 삼은 서비스에 대한 가치를 지속적으로 가져가고 있다. 그것은 서비스를 만들어가며 겪었던 동업자, 투자자 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였다. 마크 주커버그 또한 새로운 벤처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일련의 활동을 도와주고 있는 것을 보면 그나라의 젊은 열정 기업가이기에 가능한 몫일것이다. 그것이 한국와 미국 실리콘밸리 이방인들의 모습이 아닐까?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이것은 일련의 기회주의자적 발언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그러한 행운은 노력하는 자에게, 또 다른 기회를 갖고, 기회로 주어진 성공 이념을 전파하는 자들에게 전달되는 ‘스타트업 DNA’가 아닐까. 실패를 많이 해봐야 실패에서 겪게 되는 중복적인 요소들이 상쇄되고, 실패 이외의 긍정적인 기회로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

트위터의 에반 윌리엄스 – 포스퀘어의 데니스 크라울리 – 링크드인의 리드 호프먼 – 그루폰의 앤드루 메이슨, 4개 서비스의 CEO들은 모두가 같은 ‘실패의 경험 철학’을 가지고 있다. 우연히 쉬던 차에 나온 아이디어를 서비스로 만들어 갔던 트위터 공동 창업자들, 만약 닷지볼이 구글에 인수가 되지 않았으면 나오지 않았을 포스퀘어와 데니스 크라울리의 서비스 비전, 프로페셔널한 능력을 가진 자들을 이어주는 서비스가 필요했고, 향후 자신의 기업 보다 새로운 스타트업 양성에 매진하게 되었던 링크드인의 리드 호프먼, 자신이 다니던 컨설팅 대표의 투자가 없었다면 현재의 소셜 커머스의 원년 서비스인 앤드루 메이슨도 없었을 것이다.

“제가 겪었던 휴대폰 계약 해지와 같은 문제로 고생하는 개인들이 모여 단체의 힘을 보여준다면 일상의 문제들을 좀 더 쉽게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요?” – 앤드루 메이슨, 그루폰 CEO

“해고된 내 친구들이 하루 종일 어디를 돌아다니면서 노는지 알고 싶었어요. 그게 전부에요.” – 데니스 크라울리, 포스퀘어 CEO

“실리콘 밸리의 사람들은 빨리 실패해야 한다는 미신이 있어요. 실패는 사업을 하면서 마주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문제를 먼저 두드리는 역할 을 해주는데, 그것을 통해서 이 일을 내가 할 수 있는지 없는지 판단할 수 있거든요.” – 리드 호프먼, 링크드인 CEO

“뭔가 큰 게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 녀석을 정복하려 하고 있다.” – 에반 윌리엄스, 트위터 창업자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고 그 일에 넘치는 열정이 있다면, 그 일이 무엇을 만들어 낼 것인지 따위의 마스터 플랜을 세울 필요는 없어요. 그저 열정적으로 일하면 됩니다.” –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

그렇게 놓고보면, 어느 하나 기회를 잘 잡아야 하는 것도 있지만 기회를 통해서 새로운 기회로의 DNA를 옮겨가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5명의 CEO 스토리를 통해서 알수 있다. 인수 – 매각 – 투자, 그리고 재투자로 이어지는 스타트업의 많고 많은 스토리가 있지만 어느 하나 우여곡절이 잘 포장된 케이스는 없다. 단지 PR 자체가 좋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경우도 아마도(?). … 개인적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생태계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별도로 이야기는 못하겠지만 주식 단타매매 처럼 기업을 차려놓고, 투자 받으면 팔고 빠지는 개미투자자 같은 스타트업 비즈니스 브로커도 있다고도 한다. 참 씁쓸한 이야기다.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눈물겨운 스토리가 많이 생긴다면, 실리콘밸리 같은 ‘실패를 통한 성공 경험학’은 더 이상 공존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우리의 역사는 돌고 돈다, 그들의 경험은 한국 스타트업 젊은 기업가들에게 교훈으로 다가 올 것이다.

역사를 배우는 데에는 많은 의미가 있다. 그 속에는 잘못된 케이스를 후세들에게 깨우치고, 다시는 똑같이 반복하지 말라는 교훈을 주라는 것이 제일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현재의 잘 나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업은 없다고 볼 수 있다. 각자의 분야에서 나름대로의 포지셔닝과 경쟁 업체들과의 경쟁 속에서 하루하루 잘 연명하는 것 같은 그런 느낌. 단, 실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노력’의 씨앗을 지속적으로 발군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지도 모를 일이다.

실리콘밸리, 미국 서부에 위치한 광활한 평야에 생긴 IT 기업인들을 위한 ‘기회의 땅’은 호락호락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생태계에서 모든 우여곡절을 겪으며,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소셜 서비스, 인맥 정보 서비스, 소셜 커머스 시대의 장을 펼친 5명의 CEO 스토리는 한국의 많은 스타트업 젊은 기업가들에게 ‘벤치마크’ 할 수 있는 스토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누구 하나 아쉬운 것 없겠지만, 이런 스토리를 보면서 한국의 생태계가 너무나 아쉽고 부족하다는 생각만은 해보자. 그리고 자발적으로 일어나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한다. 이 시대 스타트업을 꾸려가는 모든 분들과 스타트업에 열정을 담아 서포트/지원해주는 모든 엔젤 투자자 및 멘토 분들에게 고마움을 표하며, 한권의 책을 통해서 수많은 기업가들에게 힘이 되었으면 한다.

post

플래텀의 필진으로 참여하면서 ‘책’에 대한 이야기과 ‘글쓰기’와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꺼내놓곤 한다. 1월 23일 밤, 위의 서평을 써놓고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적어놓았던 필자의 글이다.

“책을 읽음에 즐거워 하고, 책을 일고 난후에 자신의 느낌을 과감하게 써버릇 하고, 쓴글에 대해 부끄러워 하지 마세요. 모든 것이 자신의 것이니깐요. 블로그를 통해 생각의 조각을 맞춰보세요”

우리는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살아가지만 막상 자신의 주장을 펼칠 공간이 많지 않다. 하지만 그 공간은 바로 블로그 및 소셜 채널이 있다. 무분별한 흩어진 생각보다 자신을 위한, 자신을 위해 생각의 조각을 맞춰 보는 것을 어떨까? 되묻고 싶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중기부, 대기업-스타트업 협력 지원 확대…30개 스타트업에 최대 6천만원 지원

트렌드

‘유니콘의 시대’ 스타트업 영화와 드라마로 읽는 우리 시대의 자화상

스타트업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 용기’ 실리콘밸리에서 살아남은 한국 스타트업 이야기

스타트업

“아름답게 하지 말자” 실리콘밸리에서 깨달은 스타트업의 본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