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카카오 3분기…영업이익 전년대비 87% 상승

capture

카카오는 10일, K-IFRS(한국국제회계기준) 기준 2016년 3분기 연결 매출 3,914억 원, 영업이익은 30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3분기 연결 매출은 전분기 대비 3.9%, 전년 동기 대비 70.5% 증가했다.

지난 분기부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콘텐츠 플랫폼 매출이 3분기 연결 매출을 견인했다. 게임 콘텐츠 매출은 모바일 채널링 게임 ‘검과마법 for Kakao’ 등 주요 신작들의 선전과 모바일 퍼블리싱 매출의 증가로 전분기 대비 소폭 성장, 전년 동기 대비 52.7% 높은 785억 원을 기록했다. 뮤직 콘텐츠 매출은 로엔엔터테인먼트의 멜론 매출 성장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5.5% 증가한 955억 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페이지와 다음웹툰의 지속적인 거래 액 증가에 따라 기타 콘텐츠 매출은 244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2.8% 상승했다. 각 부문별 매출 호조의 결과, 콘텐츠 플랫폼 매출 전체는 전분기 대비 4.2%, 전년 동기 대비 187.2% 늘어난 1,984억 원이다.

광고 플랫폼 매출은 전분기 대비 6.8%, 전년 동기 대비 13.5% 감소해 1,269억 원으로 집계됐다. 광고 시장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 뿐 아니라, 연초부터 시작된 저 효율 네트워크 광고 트래픽을 제거하는 최적화 작업이 3분기까지 이어졌기때문이다.

기타 매출은 661억 원이다. 지난 7월 문을 연 카카오프렌즈 플래그십스토어 강남점의 매출 증가와 카카오톡 선물하기 매출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전분기 대비 32.4% 올랐고, 올해 신규 편입된 로엔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유통 매출 등이 반영돼 전년 동기 대비로는 377.6% 상승한 결과다.

3분기에는 모바일 게임을 포함한 콘텐츠 관련 활발한 마케팅 활동에 따라 광고선전비가 증가했고, 게임 및 콘텐츠, 커머스 영역 전반의 성장에 따른 지급수수료 증가가 더해져 총 3,611억 원의 영업비용이 발생했다.

결과적으로 3분기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3.7% 증가하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87% 증가한 303억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7.7%다. 당기순이익은 136억 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2016년 연간 거래 액 1천억 원을 무난히 달성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11월 말 문을 열 카카오프렌즈 플래그십스토어 홍대점의 성과도 기대를 모은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카카오의 AI 야심작 ‘카나나’…대화 속으로 걸어 들어온 인공지능

스타트업

카카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1,054억원…전년 대비 12% 감소

스타트업

카카오, 텍스트·음성·이미지 동시 처리하는 ‘Kanana-o’, 글로벌 모델과 경쟁력 입증

Uncategorized

다음, 콘텐츠 큐레이션 강화…챗봇 ‘디디’ 출시와 숏폼 전용 탭 ‘루프’ 신설로 맞춤형 서비스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