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연립/다세대 주택 회전율, 아파트 넘어섰다.

2016년 기준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주택의 매매거래 회전율은 6.19%을 보였다. 회전율은 주택 세대수 대비 매매거래 건수를 계산한 수치로 회전율이 높을수록 거래가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립/다세대(빌라) 시세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빅’이 부동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2016년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매매거래 회전율> 자료에 따르면, 약 80만세대가 거주하고 있는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주택은 지난 2016년 한 해 동안 총 49,805건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6.19%의 회전율을 나타냈다. 이는 아파트의 2016년 매매거래 회전율인 6.12%보다 근소하게 앞서는 수치다. 전년도에는 아파트가 연립/다세대 주택보다 회전율이 0.6% 높았다.

거래 회전율이 가장 높은 서울 자치구는 은평구로 나타났다. 약 7만2천 세대가 거주하고 있는 은평구는 8.5% 회전율을 보였다. 6만1천여 세대가 거주하는 강서구가 7.2%, 3만1천여 세대가 거주하는 서대문구가 7%로 그 뒤를 이었다. 8천여 세대가 거주 중인 중구는 3.3%의 거래 회전율을 보이며 가장 낮은 회전율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회전율을 보인 은평구는 거래량도 가장 많았다. 2016년 한 해동안 6,167건의 거래량을 기록했으며, 강서구가 4,401건, 송파구가 3,072건, 양천구가 2,791건, 관악구가 2,437건으로 뒤를 이었다. 회전율이 가장 낮았던 중구는 거래량도 278건으로 가장 낮았다.

로빅 운영사인 케이앤컴퍼니의 구름 대표는 “연립/다세대는 아파트에 비해 환금성이 떨어진다는 생각들을 많이 하는데, 금액이 낮기 때문에 오히려 수요 층이 넓다”며 “앞으로 빅데이터를 통해 연립/다세대 시장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계속적으로 줄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unnamed (3)-vert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아파트 가격이 그려내는 서울의 지도

스타트업

상업용 부동산 시세도 AI로 예측

스타트업

다방, 지역 정보 교환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동네이야기’ 론칭

트렌드

2월 전국 부동산 시장, 4개월 만에 상승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