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민오

트렌드

[BIO 기술과 특허 브리프] #19. 알테오젠 vs 할로자임: 히알루로니다제 특허 분쟁 (Feat. 머크의 지원사격)

K바이오의 대표 주자인 알테오젠(Alteogen)이 경쟁사인 할로자임(Halozyme)으로부터 최근 특허침해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주가가 크게 영향을 받는 등 크게 화제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알테오젠의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기반 ...

트렌드

[BIO 기술과 특허 브리프] #6.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이 필요한 이유 -LNP 특허 분쟁 사례를 통해

기술 기업이라면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 익히 들어 보셨을 겁니다.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이란 간략하게 말해 ‘하나의 기술이나 제품에 대해 여러 건의 특허를 확보하는 것’을 ...

트렌드

[류민오의 SEUM IP Alert] #7. mRNA 백신 소송 업데이트

앨나일램, 모더나와 화이자에 추가 특허침해소송 제기 지난 2022년 3월 17일 모더나(Moderna) 및 화이자(Pfizer)를 상대로 제기했던 특허 침해소송에 이어, 앨나일램 파마슈티컬스(Alnylam Pharmaceuticals, 이하 “앨나일램”)가 최근 등록된 ...

트렌드

[류민오의 BIO 기술과 특허 브리프] #5. 경쟁사의 특허 등록을 저지하는 방법

경쟁사의 특허/특허출원을 검토하거나 FTO 분석을 통해 침해 우려가 있는 특허/특허출원을 발견하였을 때, 기업에서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특허법에서는 타사의 특허 등록을 저지하기 위해 활용할 ...

트렌드

[류민오의 BIO 기술과 특허 브리프] #4. 미국 CRISPR 분쟁 경과 – University of California v. Broad Institute

이번 연구자료에서는 최근 미국에서 심결이 있었던 진핵세포에서의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에 관한 특허 분쟁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이 분쟁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엠마누엘 샤르팡티에(Emmanuelle Charpentier)와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UC ...

트렌드

[류민오의 BIO 기술과 특허 브리프] #3. 우선권 주장 출원 시 유의점 – ‘크리스퍼’ 분쟁 사례를 통해

2020년 두 명의 여성 과학자가 유전기술의 유의미한 도구 중 하나인 CRISPR-Cas9(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였습니다. 생명체의 DNA를 정교하게 바꿀 수 ...

트렌드

[류민오의 BIO 기술과 특허 브리프] #2. 특허문헌의 종류

의약품 등에 관한 기술 개발 전에 관련 특허 파악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특히 바이오벤처 분야에서는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및 기술 도입, 경쟁회사 동향 파악 등의 ...

트렌드

[류민오의 BIO 기술과 특허 브리프] #1. 명세서 작성의 중요성

최근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CAFC)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이하 ‘CAR-T 세포’)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 제7,446,190호(‘’190 특허’)가 무효라고 판단하면서 1심 법원에서의 ...

트렌드

[류민오, 최원석의 스타트업 IP 가이드]#5. 직무발명보상규정의 중요성

2017년부터 2년간 특허청∙한국지식재산연구원이 국내 26,199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직무발명보상규정을 두고 있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은 약 48.8%로 나타났습니다. 직무발명보상규정을 보유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직무발명을 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