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사용자 수 ‘1,000만’ 돌파한 ‘넷플릭스’

유료구독형 OTT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는 가운데, 넷플릭스가 월사용자수 1,000만명을 넘어섰다.

올해 2월 ‘넷플릭스’ 월사용자수(MAU)는 10,013,283명으로 지난해 1월(4,704,524명)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국산 OTT 플랫폼 ‘웨이브’(3,948,950명), ‘티빙’(2,649,509명), ‘U+모바일tv’(2,126,608명), ‘Seezn’(1,683,471명), ‘왓챠’(1,385,303명) 순으로 2월 사용자수(MAU)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오리지널 및 제휴 컨텐츠를 다수 확보한 넷플릭스의 일사용자수(DAU)는 2월 1일 기준 2,521,13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배 가량 증가했으며, 앱설치 대비 사용률도 넷플릭스가 72.7%로(2월 사용자 기준) 가장 높게 나왔다.

국산 OTT 앱 사용자의 넷플릭스 중복 사용 비율은 평균 4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왓챠’ 사용자의 ‘넷플릭스’ 중복사용률은 65.5%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독사용률도 43.4%로 나타나 2위 ‘웨이브’와 30%p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반면, 주요 국산 OTT 앱 월사용자수 합은 지난해 1월부터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드로이드 OS 기준, ‘웨이브’, ‘티빙’, ‘U+모바일tv’, ‘Seezn’, ‘왓챠’ 앱의 중복사용자를 제외한 2월 사용자수(MAU)의 합은 5,959,726명으로 지난해 1월(5,976,838명) 대비 17,112명 줄어들며 소폭 감소했다.

‘웨이브’는 2월 사용자 기준 국산 OTT 앱 중, 1인당 월평균 사용일수(8.2일) 및 사용시간(10.2시간)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12월 새롭게 시장에 진입한 ‘쿠팡플레이’는 출시 초반 사용자수가 급격하게 몰린 후 일평균 약 7만명대 일사용자수(DAU)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쿠팡플레이’의 주 사용층은 2월 전체 사용자의 21.1%를 차지한 30대 여성인 것으로 분석됐다.

위 조사 분석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3월 1일까지로, 일평균 4,000만 모바일 기기의 20억건 데이터(안드로이드, iOS 통합 데이터 기준)를 AI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분석되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결국 돈은 ‘허례허식’보다 ‘내가 원하는 삶’으로 흐른다

트렌드

광고 패러다임의 조용한 전복

트렌드

쿠팡, 3월 온라인 쇼핑 카드결제 3조원 돌파… 전월 대비 8% 성장

트렌드

숫자로 보는 3월의 TV 광고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