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코워킹스페이스 탐방 #4] 창업계의 공립학교, 광화문 드림엔터

플래텀에서는 창업에 필요한 공간과 멘토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코워킹스페이스(창업지원센터) 탐방기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예비 창업자 및 스타트업들에게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네 번째로 소개할 곳은 광화문에 위치한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교류공간 드림엔터(센터장 박용호)입니다. (편집자 주)

14750732633_6415899bcb_o

드림엔터는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으로 대학생, 청년, (예비)창업자, 스타트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창업 성공의 꿈을 이루게 하겠다는 취지로 설립된 창업지원센터입니다. 다양한 창업생태계의 관계자들이 교류, 협력, 소통할 수 있는 오프라인 전문공간을 지향하는데요. 창업에 뜻이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기에 ‘코워킹스페이스계의 공립학교’라는 별칭이 있습니다.

어디에 있는데?

드림엔터는 광화문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하철5호선 광화문 역 2번 출구로 나와 오른쪽을 보면 바로 보입니다. 접근성이 무척 좋습니다. 바로 앞에 광화문 광장, 맞은편에 세종문화회관, 오른편에 KT올레센터와 교보문고가 있습니다. 광화문 거리의 분수대에서 뛰노는 아이들을 보며 걸으니 머리를 식히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 5호선 광화문역 2번 출구 ‘진짜’ 바로 앞
  • 주소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100번지 KT 광화문지사 1층 (지도)

드림엔터 공간을 사용하려면? (자격요건)

코워킹스페이스계의 공립학교를 지향하는만큼 이용자격은 드림엔터 온라인 회원이어야 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온라인 회원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요.

센터 구성은?

열린공간(메인홀), 팀협업실, 예비창업실은 선착순으로 이용 가능하며 청춘창업실(2층)은 사전 신청을 통한 지정좌석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꿈, 도전, 열정(10명) 회의실, 혁신회의실(15명) 및 컨퍼런스홀이 있으며, 이는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간 지원은?

프린트 및 인터넷은 무료이며 커피는 자판기(300원)로 이용 가능합니다.  커피 수익금은 원두를 구매하는 데 전액 사용하고 있다고 하네요.

이용자는 얼마나

타 코워킹스페이스에 비해 연령층이 다양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회원 연령층이 10대부터 70대까지라고 하네요. 올해 2월 개관이후 총 이용객은 25,000명 정도이고 매주 200명 이상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드림엔터만의 자랑이라면?

단연 ‘접근성’과 ‘열린 공간’이라는 것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불어 정부산하기관이라는 점도요. 박용호 드림엔터 센터장의 말에 따르면 드림엔터는 정부 프로젝트에 대해 추천제가 활성화 돼 있어 가점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드림엔터 행사는 어떤 게 있는데?

멘토링 및 교육, 설명회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 중입니다. 관련 행사 안내는 온라인 회원들이라면 메일로 받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 멘토링컨설팅프로그램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에는 멘토링 프로그램, 수요일에는 컨설팅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멘토 및 컨설턴트로 구성돼 있으며 전화로 예약할 수 있습니다.
  • 실전창업아카데미 상반기에는 카우프만재단(Kauffman Foundation) 의 PEV(Planning the Entrepreneurial Venture)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현재는 실리콘밸리에서 뜨거운 반응을 보였던 린스타트업(lean startup) 강좌를 10주에 걸쳐 진행 중입니다.
  • 엔젤투자설명회 매월 엔젤투자클럽과 함께하는 엔젤투자설명회를 통해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투자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응답하라, 멘토여 격월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메시지를 통해 연사를 초청해 강연을 듣는 프로그램입니다. 오는 8월 9일에는 한동헌 마이크임팩트 대표가 예정이라고 하네요.
  • 9인의 식탁 연사와 함께하는 런치데이트 프로그램입니다. 식사를 함께 하며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 Small Talk ICT 기술분야의 전문가와 함께하는 세미나로 매월 실시하고 있습니다.

드림엔터에 대해 한마디?

웹 서비스를 개발 중인 예비창업자 이창우(34)씨와 조형민(38)씨는 “일주일에 세, 네 번 정도 이용하고 있다” 며“ “드림엔터는 접근성이 무척 좋은 데다가 공간도 넓고 독립된 공간을 보장 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창업준비생들이 고정적으로 이용하는공간이라기보다는 별 목적 없이 한번 드나드는 사람이 많다는 것에 아쉬움을 표현했습니다.

박용호 드림엔터 센터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청춘은 나이가 아니라 도전 정신과 열정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이라며 “드림엔터는 청춘이라면 누구든지 찾아올 수 있는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더불어 창조경제 활성화에 대해 “대한민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술력을 키워야 한다”며 “청춘들이 앞장서서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창조경제를 위해 힘쓸 수 있도록 드림엔터가 도와주고 싶다”고 덧붙였습니다.

14544227598_7c464227b2_o
이용객들에게 제공되는 서적
14750732213_10862063d2_o
드림엔터 1층 전경
14544234629_55c6be51f0_o
1층 협업실

플래텀 기자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경기 침체에도 한식·빵집 성장세… 서울 외식업 창업 트렌드

Uncategorized

작년 창업기업 483만개 육박, 기술기반 스타트업이 이끈다

트렌드

“완주를 위한 현명한 페이스, 42.195km의 창업을 위하여”

스타트업 이벤트

“절벽 앞에 선 기분이었지만, 뛰어내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