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글로벌 청년창업 프로그램 ‘제로백’, 41명 수료…5개팀 이상 실제 창업 도전

글로벌 청년창업 빌더 프로그램 ‘제로백(Zero100)’이 41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 프로그램은 2030 청년 창업가들의 본질적 역량과 글로벌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 9월부터 12월까지 13주간 진행됐다.

제로백 프로그램에는 미국, 싱가포르, 한국의 현직 벤처 캐피털리스트, 액셀러레이터, 벤처 빌더, 창업가들이 자발적으로 강연자와 멘토로 참여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 디캠프, MYSC 등 국내 창업생태계 기관들도 후원에 나섰다.

프로그램 운영사인 싱가포르 WILT 벤처빌더의 원대로 대표는 “수료 이후가 제로백 LAP1에서 LAP2로 새로운 트랙이 열리는 시점”이라며 “구성원의 자발적인 후속 성과에 따라 글로벌 벤처스튜디오의 역할에서 가능한 지원과 협업 프로그램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로백의 특징은 기존 창업 교육과 달리 자신과 상대에 대한 진지하고 개방적인 탐색 과정을 포함했다는 점이다. 실리콘밸리에서 활동 중인 현업 대표들의 생생한 글로벌 현장 스토리를 통해 참가자들은 창업의 실체와 ‘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됐다.

최연소 참여자로 ‘장차 크게될 상’을 수상한 김예진 씨는 “대학에서 배우지 못하는 실전 창업 분야를 이처럼 밀도 있게 익힐 줄 몰랐다”고 소감을 밝혔다. 의류판매업과 코딩아카데미를 경영하던 청년창업가 김우림 씨는 “투자유치(IR)에만 집중된 훈련을 받는 기존 창업교육에 많이 주눅들어왔는데, 내가 이룬 사업의 본질을 인정받고 가치를 더하는 과정에서 큰 자신감을 얻었다”고 전했다.

프로그램 중 진행된 F&B 스프린트 과정에서는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팀을 구성해 K-F&B 시제품을 만들고 싱가포르까지 가서 시장성을 검증하는 등 실질적인 경험을 쌓았다. 일부 참가자들은 이미 창업한 회사에 함께할 핵심 개발자를 찾거나, 강연자의 AI 스타트업에 인턴으로 합류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

수료식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패널 토의를 진행하며 ‘페이잇포워드(Pay it Forward)’ 정신을 실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들은 향후 제로백 프로그램과 각자의 분야에서 공헌을 이어갈 것을 다짐했으며, 동문회(Alumni) 프로그램과 운영진 구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제로백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구현한 박희덕 트랜스링크인베스트먼트 대표는 “제로투원(0 To 1) 과정에서 ‘빌드업(Build-up)’된 커뮤니티가 스타트업의 긴 여정에서 실리콘밸리처럼 서로 생산적인 비판과 신뢰 속에 네트워킹하고 지속가능한 지지그룹으로 서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표명했다.

플래텀 기자 : 다양한 세계를 만나 소통하려고 합니다. 스타트업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기 위해 고민 중입니다. / I want to learn about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and tell their stories.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투자

푸드테크 AI 솔루션 기업 ‘컨트롤엠’, MYSC 등에서 시드 투자 유치

이벤트

13주간의 혁신적 창업 역량 강화 과정 ‘제로백’ 출범

투자

“플립은 VC 투자받기 전에 하세요” 한국 스타트업의 미국 본사 이전 타이밍과 장애물

Workinsight 인터뷰 트렌드

미국 VC한테 투자 받으려면 해야 한다는 ‘플립’, 어떤 기준으로 결정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