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유저커넥트, 가상 페르소나 기반 인터뷰 자동화 플랫폼 ‘InterviewX’ 출시

유저커넥트가 AI 기반 사용자 인터뷰 자동화 플랫폼 ‘InterviewX’의 베타 서비스를 출시했다.

InterviewX는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해 가상의 사용자 페르소나와 AI 인터뷰 진행자가 자동으로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요약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플랫폼은 기존 사용자 리서치가 직면했던 시간과 비용 문제를 AI로 해결하고, 다양한 관점의 고객 인사이트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2020년 설립된 유저커넥트는 사용자 경험(UX) 기반 AI 리서치 기업으로, 인터뷰 자동화 기술, AI 페르소나 생성, 소비자 인사이트 분석 등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해왔다.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nterviewX의 핵심 기술인 ‘합성 유저 페르소나(Synthetic user)’는 100만 건 이상의 비정형 데이터와 통계청 MDIS 데이터 등 공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고객군의 특성을 반영한 가상의 사용자 프로필을 자동 생성한다. 예를 들어 ’20대 여성 쇼핑 고객’이라는 조건을 입력하면 관련 특성을 보인 페르소나가 생성되어 실제처럼 인터뷰에 응하는 방식이다.

이 플랫폼은 1:1 심층 인터뷰, 1:N 포커스 그룹, 퀵서베이 등 다양한 리서치 기능을 제공하며, 모든 대화와 응답 내용은 AI가 자동으로 분석해 요약 리포트로 제공한다.

현재 유저커넥트는 관련 특허 2건을 출원 중이며, 한국벤처투자의 SAFE 방식 투자를 유치하는 등 기술력과 사업성을 함께 인정받고 있다.

박영수 대표는 “InterviewX는 사용자 인터뷰의 시간과 비용 장벽을 낮추고, 누구나 쉽게 리서치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앞으로는 기업이 보유한 고객 데이터와 리서치 자료를 AI와 결합해, 기업 맞춤형 합성 유저를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과 함께, 인터뷰 목적과 업종에 따라 AI가 역할과 화법을 조정하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구조도 도입 중”이라며, “InterviewX는 앞으로 복합적 맥락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AI 리서치 에이전트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유저커넥트는 2024년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 고도화, 실제 사용자 테스트, UI/UX 개선 등의 지원을 받아왔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36개 유망 스타트업 참여한 ‘2025 창업-BuS 연합 IR’ 행사 성료

이벤트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아이티센그룹,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여 기업 모집

스타트업

경기혁신센터 스타트업 10개사, 에디슨 어워드 금·은·동 수상

이벤트

경기혁신센터 10주년…’글로벌 유니콘 벤처 빌더’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