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람다256, 블록체인 비즈니스 솔루션 2개 제품 동시 공개

스테이블코인 통합 플랫폼 ‘SCOPE’와 AML 분석 플랫폼 ‘클레어’ 출시

두나무 자회사 람다256이 9일 업비트 D 컨퍼런스(UDC) 2025에서 블록체인 비즈니스 솔루션 2개 제품을 공개했다. 기관형 스테이블코인 통합 플랫폼 ‘SCOPE(스코프)’와 온톨로지 기반 블록체인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 ‘클레어(CLAIR)’다.

SCOPE는 스테이블코인 발행부터 결제·정산, 규제 준수까지 전 과정을 하나로 통합하는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이다. 금융기관과 기업이 복잡한 기술 개발이나 파편화된 외부 솔루션 의존 없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금융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강화되는 규제 환경에 대응해 KYC/AML 자동 검증, 준비금 관리, 실시간 감사 로그 등 금융권 수준의 컴플라이언스 엔진을 탑재했다. 또한 분산 키 관리, 다중 서명 연계 등 기관급 보안 인프라를 제공한다.

조원호 람다256 CBO는 “SCOPE는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필요한 기술과 규제를 모두 충족하는 최초의 엔터프라이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라며 “기존에는 금융기관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위해 노드 인프라, 커스터디, 온·오프 램프, 환전, 규제 대응 등 다양한 솔루션을 개별 연동해야 했지만, SCOPE는 이 과정을 통합해 멀티체인 환경을 원클릭으로 연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클레어는 온·오프체인 데이터를 결합해 불법 자금세탁(AML), 해킹, 사기 등 디지털 자산 범죄를 실시간 추적·분석하는 플랫폼이다. AI 기반 실시간 추적 및 리포팅, 온톨로지 기반 지식그래프 시각화, 온·오프체인 통합 분석 등의 기능을 갖췄다.

특히 AI가 대규모 거래를 자동 분류·분석해 의심 거래를 선별하고, 전문가가 핵심 사안에 집중할 수 있도록 리포팅 기능까지 지원한다. 람다256은 “클레어는 AML 전문가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인력의 역량을 강화하는 조력자”라고 강조했다.

남기훈 람다256 CTO는 컨퍼런스에서 클레어의 AI 리포팅 기능을 직접 시연했다.

조원호 CBO는 “글로벌 자금세탁방지 소프트웨어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특금법 시행, 트래블룰 의무화 등으로 AML 솔루션 도입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람다256은 클레어를 통해 2026년 아시아 주요 B2B·B2G 시장 진출과 하이브리드·온프레미스 모델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2027년 이후에는 북미·유럽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전통 금융 데이터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연결하는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SCOPE를 통해서는 국내외 스테이블코인 비즈니스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자사 노드 인프라 플랫폼 ‘노딧(Nodit)’과 함께 블록체인 인프라부터 데이터 분석, 디지털 금융 서비스까지 전 과정의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두나무 UDC 2025, 글로벌 블록체인 리더들 한자리에…에릭 트럼프 참여

트렌드

업비트-빗썸, 가상자산 거래소 앱 1·2위 굳건… 3위는 지표별 차이

스타트업

업비트, 법인 고객 100곳 확보…검찰청·사랑의열매 등 포함

스타트업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상반기 영업이익 11% 상승한 5491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