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투자

국정감사서 제기된 ‘어반베이스 판결’ 논쟁…스타트업 투자 계약 재점검 촉구

김한규 의원 “3명 중 1명 창업자가 연대책임 요구받아”…정부는 “개선 중” 답변

김한규 국회의원이 국정감사 현장에서 어반베이스 사건을 언급했다. 건축 플랫폼 스타트업 어반베이스가 경영 악화로 회생 신청한 후, 투자사 신한캐피탈이 창업자 개인에게 투자원금 5억 원과 연 15% 이자 7억 원을 합쳐 총 12억 원을 배상하도록 소송을 제기한 사건이다.

1심 법원은 창업자가 투자사에 상환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다. 2017년 체결한 투자계약에 ‘회생절차 개시 시 투자자가 이해관계인(대표이사)에게 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는 풋옵션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국정감사 현장에서 스타트업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제시했다. 조사 결과 3명 중 1명의 창업자가 연대책임 조항을 요구받은 경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업계에 따르면 이런 계약이 사실상 표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투자계약에서 창업자 개인의 연대책임 조항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김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투자계약 조항의 법적 타당성을 지적했다. 그는 “상환주식이라는 건 상법상 회사가 이익이 있을 때만 상환하게 돼 있다”며 “이런 약정은 상법규정위반 소지가 있고 전체적으로 부당한 계약으로 보인다”고 발언했다.

투자계약에 포함된 조항은 회사가 상환할 수 없을 경우 15% 복리 이자를 추가해 투자금을 반환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또한 ‘연대책임’ 조항으로 창업자 개인도 회사와 함께 책임을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김 의원은 “기존에는 그런 조항이 있었지만 법적 조치를 취하지 않던 투자자들이 망한 회사의 창업주를 상대로 소송을 하려는 움직임이 커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최근 들어 좀 이런 소송이 좀 증가되고 있는 추세”라고 답변했다.

신한캐피탈은 신기술 창업회사(신기사)로 분류되어 금융위원회 감독 대상이고, 일반 벤처캐피탈은 중소벤처기업부 관할이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 벤처 투자의 절반이 신기사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투자를 받는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중기부가 투자 성과 실적 발표할 때 다 합산해서 발표”하면서도 규제 시에는 관할권이 다르다는 점을 언급했다.

한 장관은 “중기부는 VC랑 관련된 부분들에 투자에 제3자 연대 책임을 이미 부과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답변했다. 다만 신기사는 금융위 관할이므로 금융위와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 장관은 “개인 조합이랑 사업 기획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도 연내에 고시해 시행하려 한다”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정부의 스타트업 정책과 현실 간의 간극을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이 지난달 17일 청년 창업자들 만나서 ‘스타트업이 실패해도 다시 일어날 수 있게 하겠다’라고 언급했다. 어반베이스 판결 같은 게 있으면 청년 창업자들 실패하면 다시 못 일어선다”라며 “이런 것들은 스타트업을 관장하는 중기부에서 챙겨야 된다”라고 강조했다.

어반베이스 사건은 2024년 7월 1심 판결 이후 항소심으로 진행 중이다. 서울고등법원 민사16부는 다음 달 20일 2심 첫 변론기일을 예정하고 있다. 항소심에서는 풋옵션 조항의 유효성과 창업자 개인책임의 범위에 대한 법리 다툼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한성숙 중기부 장관, 전북 방문해 중소기업·소공인 현장 점검

이벤트

제주서 탄생한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이벤트 스타트업

한성숙 장관 ‘글로벌 4대 벤처강국’ 목표 제시…연 1조원 펀드 조성 계획

투자 스타트업

아키스케치, 어반베이스 IP 인수로 3D 인테리어 시장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