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특화 AI 기업 마키나락스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 AI솔루션 실증·확산 지원사업’에 선정돼 ‘산업 AI 반도체 솔루션 기반 구축 및 실증’을 추진한다. 마키나락스의 사업비는 약 13억원이며, 수행 기간은 이달부터 내년 6월까지다.
국내 반도체 설비와 반도체 부품 산업은 복잡한 장비 데이터의 표준화, AI 전문 인력 확보, 맞춤형 솔루션 필요 등 여러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데이터 표준화와 벡터 DB 기반 인프라 구축은 개별 기업이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공정 효율화와 품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제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제어할 수 있는 AI 기반 지능화 체계가 필수적이다.
마키나락스는 이번 사업의 공급 기업으로 뉴파워프라즈마, 서플러스글로벌, 와이씨, 주성엔지니어링, 케이씨텍,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자체 AI 플랫폼 런웨이(MakinaRocks Runway)를 기반으로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맞춤형 AI 에이전트 솔루션을 공급해 중견 제조기업의 AI 전환을 가속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 목표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장비 출하 전·후 생성되는 FAT/SAT 보고서, 고장·에러 이력, 운전 로그 등을 LLMOps 기반으로 통합 분석하는 ‘품질 이력 관리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LLMOps 환경을 엣지(Edge)와 연동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분석하고 자동 업데이트와 배포를 지원해 제조사의 ‘지속가능한 AI 자율운영 체계’ 구축을 돕는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실증 사업을 통해 중견 반도체 기업들이 즉시 활용할 수 있는 AI 솔루션으로 제조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며 “나아가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조 기업이 스스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자체 AI 역량을 강화하는 전환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마키나락스의 런웨이는 데이터 통합부터 멀티모델 관리와 운영(MLOps), 대형언어모델 운영(LLMOps), 에이전트 운영(AgentOps) 등 전 주기를 포괄하는 AI 플랫폼이다. 높은 확장성과 보안성을 기반으로 현대자동차, 삼성전기,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수자원공사, 보험개발원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돼 기업 스스로 AI를 만들고 운영하는 체계를 제공하며 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


![[BLT칼럼] 아이온큐가 특허로 '기술 신뢰도'를 쌓은 법 : 양자컴퓨팅 시대, IP 전략 제시 8ee48ae3a3a11](https://platum.kr/wp-content/uploads/2025/10/8ee48ae3a3a11-150x150.png)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