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벤처기업협회 AX브릿지위원회, ‘AX 성공방정식 2026’ 개최… “기술 아닌 실행 격차 해소해야”

벤처기업협회 산하 AX브릿지위원회(위원장 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의장)는 25일 서울 포스코타워 역삼에서 ‘AX 성공방정식 2026, 현장의 질문에 답하다’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벤처기업의 AI 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행 장벽 해소를 위한 ‘3대 AX 정책’을 제안했다.

이번 행사는 벤처·스타트업이 AI를 비즈니스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실질적 문제를 분석하고, 기술 격차가 아닌 ‘실행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AX브릿지위원회가 지난 10월 22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벤처기업 AI 도입 경험 및 장벽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1.4%가 ‘데이터 품질·정제·표준화 부족’을 가장 큰 장벽으로 꼽았다. 이어 비용 예측 실패(73.3%), 문제 정의 오류(73.3%), 솔루션 미스매칭(68.8%), 기술검증(PoC) 한계(64.3%) 순으로 나타나며 이른바 ‘5대 AX 장벽’이 확인됐다. 위원회는 응답 기업의 63.8%가 초기 도입 및 실증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전체의 85%가 50인 미만 기업으로 파일럿 실험만 반복되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이날 오프닝 세션에는 만나CEA, 고피자, XYZ, 이스트소프트 등 산업별 AI 도입 기업들이 참여해 경험을 공유했으며, 발표자들은 데이터의 질이 AI 도입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이어진 솔루션 세션에서는 럭스로보, 아사달, 모비젠, 뤼튼테크놀로지스, 컴투스 등이 구체적인 장벽 극복 전략을 제시했다.

AX브릿지위원회는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AI 실전 적용을 위한 3대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첫째, 데이터 정책 부문에서는 공공데이터 개방을 넘어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정제·가공해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거버넌스와 품질관리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둘째, 인력 정책으로는 개발자 양성을 넘어 경영진과 재직자가 AI 활용법을 익힐 수 있는 실무형 교육 확대를 제안했다. 셋째, 지원 정책에서는 일회성 PoC 지원을 지양하고 도입부터 확산까지 전 단계를 지원하며 총소유비용(TCO) 관점의 패키징 지원체계를 마련할 것을 강조했다.

이주완 위원장은 “AI 강국은 기술 확보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현장에서 AI를 제대로 활용하는 기업이 늘어나야 가능하다”며 “2026년 정부의 AI 정책 중심축은 기술 공급에서 실행 격차 해소로 이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이벤트

경기콘텐츠진흥원, ‘2025 미래콘텐츠 성과공유회’ 개최

이벤트

‘제5회 제주 벤처인의 날’ 개최… 메가플랜·아이택트 유공 표창

투자

벤처업계, “모태펀드 예산 삭감시 시장 급격히 위축”…국회에 정부안 유지 촉구

이벤트 스타트업

야놀자, 전사적 AI 혁신 위한 ‘텐엑스톤’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