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술창업 도시로 변모중인 ‘청두(成都)’를 주목하라

dsc_3559_20410452539_o

중국은 성급(), 지급(), 현급() 등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지역 구분을 하기도 하지만, 소위 1선(線), 2선, 3선 도시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후자는 부동산 용어가 보편화 된 사례로 도시의 종합경쟁력 등 경제력을 나타내는 구분법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1선 도시로 수도 베이징을 비롯해 상하이, 선전(심천)이 있고, 2선 도시로 청두, 충칭, 다롄 등을 들 수 있겠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생활 편리성과 문화, 업무환경 등 도시 인프라는 1선 도시가 압도적으로 좋다. 역순으로 2 ~ 3선 도시가 1선 도시보다 우월한 점은 생태 환경적인 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물가 역시 차이가 크다. 부동산을 비롯해 택시비, 식비 등 체감물가에서 1선도시와 2선 도시는 확연히 다르다. 같은 서비스라 해도 기본적으로 책정된 과금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여기에 덧붙이자면 새로운 기회 역시 2, 3선 도시에 크다는 의미가 되겠다.

현재 중국 정부는 2선 도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경제 활성화 지원책을 내놓는 중이다. 2014년 부터 시작된 ‘신창타이(중국판 뉴노멀)’라는 키워드의 연장선상이다. 이러한 정책 속에서 2선도시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소프트웨어 파크’, ‘하이테크 파크’ 등으로 불리우는 산업단지다. 이러한 단지에 중국 정부는 자국 인터넷 대기업을 비롯해 해외 IT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외국의 기술력을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자 일자리 창출의 움직임이다. 과거와 달리 중국 내 합자법인 설립과 지원에도 적극적이다. 이에따라 글로벌 기업 역시 우선 투자 지역으로 역시 빠르게 성장 중인 2선도시를 주목하는 중이다. 수출경제에서 내수경제가 되어가는 또다른 글로벌 중국에 대한 투자인 것이다.

더불어 중국정부는 이러한 특구에 창업지원도 부가되어 병행시키는 중이다. 2선 도시는 중국 정부와 선도 기업의 지원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간을 임대할 수 있으며, 개발자 고용이 가능하다. 특히 소비주체라 할 수 있는 1선 도시로 나가기 전 시험무대로도 적합하다.

대표적 2선 도시 중 한 곳이자 역사, 문화의 도시라 할 수 있는 청두에도 이러한 성격의 산업단지가 존재한다. ‘티엔푸 하이테크 존’ 등이 그곳이다. 특히 이곳에 조성된 ‘티엔푸 소프트웨어 파크’는 중국 내 최대 규모 소프트웨어 파크이자 소프트웨어 클러스터로 설립 후 알리바바와 텐센트를 비롯해 IBM, 레노버, SAP, NEC, GE 등 250여 개 국내외 유명기업이 입주해 있다. 포브스지가 선정한 500개 IT 회사 가운데 40개가 넘는 회사가 청두에 지사를 설립했으며, 이 중 외자기업의 비율이 40%에 달한다.

더불어 청두시는 소프트웨어 파크를 중심으로 관련 종목 창업자에게 사무실과 사무 설비를 무료로 제공하는 등 과학기술분야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 중이다. 청두와 쓰촨성 창업자를 선발하는 쓰촨 Top Team, 청두 Top Team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1억200만 위안(약 1930억 원)이 지원되었다. 특히 파크 내 아이디어 카페를 비롯한 창보육 시설을 통해 100개의 팀을 육성중이이다.

티엔푸 창보육센터는 팀규모에 따라 40~100㎡ 크기의 무료 사무공간을 제공하며, 티앤푸 엔젤 투자 클럽 등 VC 투자연계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불어 350 만 위안 규모의 기술 혁신 펀드를 운영해 지원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와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동시에 세무, 창업가정신 등 교육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 또한 2012년에 오픈한 아이디어 카페는 코워킹스페이스이자 제품 소개 쇼케이스 장소 및 이벤트, 파티, 교육, 통신, 레저 등 오프라인 소셜 커뮤니티다. 청두는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술창업 도시로 변모중이다. 1선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2선도시 선전에서 텐센트, 항저우에서 알리바바가 탄생했듯 청두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IT 기업이 나와도 크게 놀랄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chuangye-horz

12400598_10205003494238319_9204345976496504126_n

티엔푸 소프트웨어 파크 내 창보육센터와 코워킹스페이스

P50811-124426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경남도-KOTRA, 청두서 ‘한중 항노화 메디컬플라자’ 개최해 시장 공략

스타트업

인천센터-이랜드 차이나 E-이노베이션밸리, 스타트업 중국 진출 위한 전략적 협력 강화

글로벌

AI 굴기의 시작점, 한 시골마을에서 펄럭이는 깃발

글로벌

중국 베이커리의 반전…”장인의 손길서 냉동기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