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관광버스 공차운행정보 O2O플랫폼 ‘위버스’ 론칭

unnamed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승객과 차량을 이어주는 서비스인 ‘우버’는 논란속에서도 급성장을 거듭해 2014년 7월경에는 세계 41개국 150개 도시에 2015년 12월말에는 세계 30여개 도시에 진출하기에 이르렀다. 기업가치도 급등하여 2014년 6월 18조원에서 2015년 말경에는 625억달러(74조원)까지 치솟았다. 세계 각국에서 우버를 본 딴 서비스가 확장 중이다. 중국의 `디디콰이디’, 싱가포르의 `그립택시’, 인도의 `올라’ 등이 우버와 유사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국내에도 화물시장의 ‘24시콜’을 비롯해 ‘카카오택시’, ‘콜버스’ 등이 등장한 가운데, 고객과 관광버스를 연결해 주는 수요 응답형 O2O플랫폼 서비스 위버스’(webus)’가 론칭되었다.

전국관광버스 공차운행정보 O2O플랫폼 위버스는 공차 정보 공유를 통해 공급자(관광버스업체 및 기사)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을 수 있는 역경매 형식의 서비스다.

현재, 전국 1700여 관광버스업체에 소속된 관광버스는 약 47,000여대이고, 관광버스 시장만 2조 7천억원에 이르는 큰 규모지만, 전국관광버스 운행총량을 통합해 관제하거나 배차하는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위버스는 여기에 주목해 관광버스업체용 앱(APP)을 통해 공차, 구차, 긴급구차, 고정일자리, 고객견적, 입찰정보, 버스매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더불어 버스토크, 버스114, 뉴스센터 등의 메뉴를 갖춘 관광기사용 앱(APP)을 바탕으로 관광버스기사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조성했다.

특히, 전국관광버스 네트워크를 구축해 정확한 공차운행 정보를 확보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미 2011년도에 BM특허인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공차 운행 자동 안내 방법’과 ‘버스 전세 중개 방법’을 획득한 바 있다. 위버스는 지난 6월 관광버스업체를 위한 법인용 앱과 관광버스 기사용 앱을 통해 베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약 5,200명의 관광버스 기사회원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9월 출시 예정인 고객용 앱은 통학 및 통근버스를 비롯해 지역행사, 워크샵, 수학여행, 학원셔틀, 결혼식, 산악회, 여행사의 공항입출국 운행 등 고객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 시켜 줄 예정이다.

위버스의 김동원 대표는 “화물, 퀵서비스, 대리운전, 콜택시 등 위치기반 어플을 통한 정보화는 이미 성숙단계에 있으나 그 동안 관광버스분야만은 운행정보에 대한 균형이 이뤄지지 않아 비효율적으로 운행되는 과거에 머물러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위버스는 전국관광버스 운행정보 공유를 통해 전국운행총량을 최적화하는 공유경제를 실현하여 낭비되고 있는 자원을 절약하고, 대고객서비스의 획기적인 제고, 사고 또는 문제 발생시 빠르고 안정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대표는 “관광버스업계의 IT선진화를 통해 관광버스시장의 변화를 주도하고, 나아가 관광버스가 관광산업 핵심업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전세계 K-팝 팬이 사흘에 한번 방문하는 서비스

스타트업

팬덤 플랫폼 위버스, 다운로드 수 1억 돌파…MAU 1천만 눈앞

스타트업

[스타트업 단신] 프록시헬스케어, 타인에이아이, 위버스, 넷스파, 알고랩

스타트업

‘위버스’ 론칭 1년만에 다운로드 천 만…”고객 경험 확장 통해 팬덤 문화 혁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