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지난번까지의 5가지 개론은 무엇을 선행적으로 할 수 있을지, 그리고 실제 기업 내부 마케팅 – 홍보 파트 – 소셜 비즈니스 파트 – 소셜 분석 매니저가 이끌어 ...
・
2013.09.24
하반기 비즈니스 실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시점이다(이미 이른 시점에 준비한 곳에서는 스타트 시점 자체가 빠른 곳도 있을 것이다). 휴가철이 끝남과 동시에 하반기 비즈니스와 2014년을 전략적으로 준비해야 ...
2013.07.30
‘경험에 의한 채널 운영이 맞을지? 아니면 사전의 견고한 정성적 조사를 기반으로 한 채널 운영이 맞을지?’ 이에 대한 해답은 누구도 내릴수 없지만 위의 두가지 질문을 절충한다면 ...
2013.06.10
두차례의 글을 통해서 ‘소셜 리서치’의 기본적인 조사 개론 및 설계 범위(특히 사용자 행태조사가 가능한 부분)를 이야기 해보았다. 그렇다면 과연, 소셜 리서치를 시작함에 있어서 무엇부터 체크해야 ...
2013.05.10
‘들여다본다’ 라는 관점에서 소셜리서치 두번째 이야기를 시작해보려 한다. 특히 소셜리서치는 방법론의 차이를 떠나 어떤 요소들을 중심으로 ‘리서치’하고 연구하는 과제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
2013.04.26
Business 스타트업 인사이트
‘과연 소셜 분석 필요한가? 그리고 해야만 하는가?‘ – https://platum.kr/archives/5869 작년 12월 28일, 플래텀에 남긴 10번째 글을 잠시 되돌아보며 그 시작을 열고자 한다. 작년의 이야기일지는 모르나 ...
2013.04.18
플래텀의 한주간 국내 스타트업 소식 및 중국 테크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