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페이가 AI 에이전트와 결제 시스템을 연동하는 기술인 ‘결제 MCP(Model Context Protocol)’와 ‘에이전트 툴킷(Agent Toolkit)’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사용자가 자연어 대화로 결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결제 MCP는 AI 에이전트와 결제 API를 연동하기 위한 기술이다. 카카오페이는 매일 수백만 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결제 시스템의 보안과 안정성 요구사항을 고려해 MCP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MCP는 AI 모델과 외부 도구 간의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로, AI가 외부 시스템의 기능을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에이전트 툴킷은 개발자들이 AI 챗봇과 자연어로 소통하며 결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제 테스트, 결제 준비, 승인, 취소, 상태 조회 등 7가지 결제 API를 툴 형태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는 ‘5천 원짜리 커피 결제 링크 생성해 줘’와 같은 자연어 명령으로 결제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기술은 AI 에이전트-MCP-카카오페이 오픈 API로 구성되어 있다. 랭체인(LangChain), 버셀 AI SDK(Vercel AI SDK), 오픈 AI SDK(OpenAI SDK) 등 다양한 AI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
카카오페이는 에이전트 툴킷을 활용한 시연도 공개했다. 사용자가 ‘결제 링크 생성해 줘’, ‘결제 취소해 줘’와 같은 자연어로 요청하면, AI 에이전트가 실시간으로 결제 링크 생성부터 상태 조회, 취소까지 처리하는 과정을 선보였다.
카카오페이는 ‘이번에 공개한 MCP 및 에이전트 툴킷은 결제 AI 시대를 준비하는 첫 걸음’이라며 ‘기술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뢰를 최우선으로 하며, AI 시대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