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기반 혁신과 벤처투자 40조원 달성 의지 천명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8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가진 취임 30일 기자간담회에서 “현장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다시금 신발끈을 조여 매야겠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고 소회를 밝혔다.
한 장관은 취임 후 30일 동안 중소기업, 벤처·스타트업, 소상공인 분야별로 각각 10회씩 총 30회의 정책현장투어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30일 ‘성실상환 소상공인 인센티브 방안’ 간담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3회를 개최해 120여명의 전문가와 기업인들을 만났다.
“현장 애로를 청취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마련도 병행하고 있다”는 그의 설명은 단순한 형식적 현장 방문이 아닌 실질적 정책 반영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오랜 기간 민간 디지털 혁신 전문가로 활약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장관은 데이터 기반의 내외부 혁신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외부적으로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전달체계를 전면 개편한다. 지원사업 신청 서류를 대폭 간소화하고, 행정정보 연계 강화로 공공기관 발급 서류를 자동 제출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AI·빅데이터에 기반한 기술평가모델 활용과 중소기업 통합플랫폼 구축을 통해 지원사업 공고를 한 곳에서 제공할 방침이다.
내부적으로는 기업정보, 내부 보고서 등 각종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통합 DB를 구축하고, 이를 생성형 AI에 결합해 단순 반복업무를 자동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책 이행실적 관리와 정책 환류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의 핵심으로는 벤처투자 40조원 달성 목표를 제시했다. 7대 피지컬AI와 15대 초혁신경제 프로젝트 분야를 집중 지원하고, 모태펀드 및 퇴직연금 등을 통해 이를 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제조AX 전환을 위한 스마트공장 보급 지원 확대와 K-뷰티 등 유망 산업 집중 양성을 통한 수출 확대 방안도 제시했다.
소상공인 지원책으로는 대환대출 확대를 통한 금융 부담 완화와 노란우산공제 한도 상향으로 사회 안전망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상권르네상스 2.0 추진을 통해 상권 규모와 유형에 따른 맞춤형 골목상권 육성도 예정했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 기업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납품대금 연동제 실효성 확보를 위한 연동 대상 확대와 한국형 증거개시제도 도입을 통한 기술탈취 근절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고 했다.
한 장관은 9월부터 예정된 동행축제와 9월 1일부터 5일까지 제주에서 열리는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