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와디즈 투자인사이드①] 스타트업 투자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160215

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어떻게 해야 할까?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스타트업에 직접 투자하는 새로운 길이 열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시작된지는 한달이 조금 안되었죠.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투자 수익도 얻을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대효과가 있지만 새로운 방법이라 익숙지 않아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스타트업, 창업에 대한 글들은 국내외에 상당히 많지만  ‘투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글들은 많지 않기에 더 어렵게 느껴지는 듯 합니다. 그래서 크라우드펀딩을 연구하고 스타트업에 대하여 공부하며 호기심을 가지고 지켜본 경험에 비추어 스타트업 투자에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지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보려 합니다.

스타트업 투자 접근 방법

  1. “관심있는분야에”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고 변화를 만들어 나가는데 힘을 더하고 싶은 영역에 있는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 시작일 것입니다. 즉, 관심있는 분야에서의 변화를 원하며 투자하는 것이 바로 스타트업과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특히 관심있는 분야라면 기술, 서비스, 시장 등에 대해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기꺼이 그 분야에 대하여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본래 스타트업에 대한 정보는 부족할 수밖에 없으므로 관심있는 분야에서 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남들이 좋다고 말하여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내가 관심있는 분야가 무엇인지, 나 스스로에게 집중해보는 것입니다.

다행인 것은 그러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 나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실제로 음악, 영화 등 콘텐츠 소비,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제품 소비 등 많은 영역에서는 그와 같은 한 사람에게 집중하여 그 사람만을 위해 특화되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앞다투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의 행태가 과거처럼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이 아닌 개성을 중시하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스타트업에 투자할 때 나 한사람의 투자 금액은 크지 않습니다. 그러나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여럿이 모이면 한 회사에 의미있는 규모의 투자가 가능해집니다. 소규모 스타트업 투자자들이 모여 한 회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것. “투자”와 “크라우드펀딩”이 만날 때 가능한 일입니다.

  1. “공부하면서”

투자는 적극적으로 공부하면서 배워나가야 합니다. 주식투자, 부동산투자 관련 스터디, 카페, 강연 등이 많은 이유도 그만큼 해당 투자에 대하여 공부하려는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스타트업 투자와 관련해서도 많지는 않지만 관련 모임들이나 팟캐스트 등이 존재 합니다. 이들을 찾아 공부하면서 해야 합니다.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 투자의 대상이 될 해당 회사에 대해, 그 회사가 속해 있는 산업에 대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과 그와 같은 기술로 인한 사회의 변화 움직임을 비롯한 트렌드에 대해 지속적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또한 일반적인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들에 대해서도 공부하면 좋을 것입니다. 스타트업 창업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다면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해있는지,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장래 어떠한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지 등을 깊이 공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공부해가면서 관심분야에 대하여 그 깊이를 더해가고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관심분야를 넓혀가면서 투자까지 진행할 수 있다면 일석이조가 아닐까요.

  1. “전문적이지만가볍게”

투자는 전문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하려는 기업을 더 알아야 하고, 해당 산업의 동향이 어떠한가, 어떤 기회가 있는가도 보아야 합니다. 또한 앞으로의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하여도 관심을 가져야합니다. 이와 같은 접근은 전문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가벼워야 합니다. 크라우드펀딩의 본질은 ‘십시일반’에 있습니다. 내가 부담을 가질 정도로 큰 규모로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여유자금으로 가볍게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포인트일 것입니다. 현행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 일반 투자자의 경우 동일 기업에 최대 200만 원, 1년에 누적 총액 500만 원의 한도로 투자 금액을 제한한 것은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위험 감수능력을 감안하여 정해진 것일 수도 있지만 소액 투자가 여럿 모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크라우드펀딩의 본질을 생각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가볍게 투자한다는 것은 유쾌하고 즐거울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유흥에 소비해버릴 수 있는 돈을 일부 줄이는 대신 함께 토론하고 관심있는 분야를 공부하면서 스타트업에 투자할 수 있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형태가 생길 수도 있다는 기대감도 생기네요.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초기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의 영역이 일반인에게도 열렸습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창업 기업들도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고 사람들이 스마트폰과 온갖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연결되면서 사업의 기회들도 그만큼 늘어나고 있습니다.

평생직장이란 것은 점차 없어지고 있습니다. 창업을 하든 투자를 하든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을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하는 어려운 시기입니다. 쉽지 않은 시기지만 스타트업 투자에 대한 관심과 접근은 어려운 시기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좋은 시작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공부를 통해 투자도 하고 그 과정을 통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더욱 구체화해갈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찾을 가능성도 높아질 것입니다. 창업에 대해 공부를 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관심영역에서 직접 창업을 하게 될 수도 있고, 기회가 되면 관심있는 그 회사에 합류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모든 부수적인 효과는 어떤 방향으로든 움직일때 나오지만 움직이지 않으면 그 부수적인 효과조차 나오지 않습니다.

새로운 투자 문화이자 즐거운 투자 문화.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이 가야 할 길이자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갈 길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원문스타트업 투자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3bc96771-d76a-4f4b-8b64-9acd9cd56fff글 : 박진규 現 와디즈 전략기획팀장 / 前 산업은행 기업금융담당

와디즈는 생소한 ‘크라우드펀딩 투자’에 대해 조금 더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와디즈 투자인사이드’를 신설하여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이벤트 스타트업

와디즈, 중국 선전에서 ‘한국 진출 펀딩 설명회’ 개최

스타트업

와디즈, 글로벌 서비스 5월 론칭…200개국과 연결

스타트업

와디즈, 수익성 개선으로 흑자 전환 가시화…2026년 상장 추진

스타트업

맥파이테크, 킥스타터 58만 달러 펀딩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