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렌딧, 2주년 분석 리포트 발간…재투자율 64% 달해

P2P금융 렌딧(대표 김성준)이 투자 서비스를 시작한 지 2년을 정리하는 통계 자료를 발표했다. 2015년 7월 11일부터 올 6월30일까지 모집한 P2P 투자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다.

2년 간 모집된 총 누적투자금액은 511억원으로 2년 간 평균 수익률은 세전 10.2%, 세후 8.4%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투자금액은 349만원으로 집계 되었다.

 

렌딧에서 지난 2년 간 이루어진 누적분산투자 건수는 총 207만건에 이른다. 투자자 1인이 평균적으로 분산투자한 채권 수는 142건, 1인 최다 분산투자 건수는 2,303건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여러 번 재투자가 일어나고 있다는 이야기다.

지난해 7월20일 발표한 ‘렌딧 투자 1주년 보고서’에서 집계된 누적분산투자건수는 469,566건으로, 1년 간 누적된 분산투자건수도 큰 폭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폭발적인 분산투자의 증가세는 투자자들의 수익률 안정화라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2년간 렌딧이 집행한 대출채권을 연도별로 나누어 시간경과에 따라 투자수익률을 분석해 본 결과, 2015년에 집행된 대출채권보다 2016년 대출채권이 시간이 경과될 수록 더 안정된 수익률로 수렴되고 있었다.

2015년에 집행된 대출채권에 투자한 투자자의 연환산수익률은 투자 후 7개월 간 9.1%를 유지하다가 점차 감소해 투자 후 23개월이 경과된 시점에는 7.2%를 나타내고 있었다. 반면 2016년에 집행된 대출채권의 경우 투자 후 첫 7개월 간 9.7%의 수익률을 보였으며, 18개월이 경과된 현재에도 9.5%의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2017년 대출채권의 경우 처음부터 투자 경과 후 5개월이 지난 시점까지 11.3%의 높은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보다 명확히 분산투자 효과를 살펴 보기 위해 1개 채권 당 투자자 1인의 평균 투자금액을 연도별로 살펴 보았다. 2015년 74,143원에서 2016년 17,794원, 그리고 2017년에는 14,075원으로 크게 감소하고 있었다. 시간이 갈 수록 분산투자할 수 있는 채권이 증가하면서, 투자금액을 보다 잘게 쪼개 여러개의 채권에 분산투자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연체에 따른 손실은 감소하고 투자 수익률의 안정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

 

주요 투자자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30대 남성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투자자 분석 결과 서울 지역의 투자자가 36.8%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 32.6%, 경상도 15.7%로 그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63.9%, 여성 36.1% 로 남성 투자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별 비율은 30대 투자자가 4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어서 20대 이하 30.2%, 40대 14.6%, 50대 이상 6.2% 로 집계 되었다.

 

렌딧 투자자 중 61.2%는 3가지 포트폴리오 중 균형투자형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되는 수익률이 가장 높은 수익추구형이 21.1%로 그 뒤를 이었고, 절세추구형을 선택한 투자자는 5%에 그쳤다. 반면, 채권을 직접 선택해 투자하는 경우도 12.7%로 집계되었다.

기존 투자자의 재투자 비율은 64%에 달했다. 매월 지급되는 원금과 이자를 재투자하면 월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 이처럼 재투자 비율이 높아지면서, 렌딧은 지난 5월 매월 투자 목표금액과 채권 당 최소 투자 금액을 설정하면 매일 새로운 채권에 자동 투자해 주는 ‘데일리 자동투자’ 기능을 새롭게 선보이기도 했다.

렌딧의 김성준 대표는 “지난 2년 간 국내 P2P금융 최초로 포트폴리오 투자 방식을 고안해 선보이고, 업계에서 유일하게 실시간 분산투자 추천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서비스 하는 등 산업 발전의 방향성을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했다.”며, “이제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욱 투명하고 안정성 높은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P2P금융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에잇퍼센트, 리브랜딩 및 서비스명 통합

스타트업

렌딧·루닛·자비스앤빌런즈 등 스타트업 주축 ‘U-Bank 컨소시엄’, 제4인터넷은행 도전

투자

온투업 1호 ‘렌딧’, H&Q Korea로부터 504억원 투자 유치

스타트업 트렌드

‘렌딧, 8퍼센트, 피플펀드’ 온라인투자연계금융 1호 등록 기업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