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목표 달성 플랫폼 ‘챌린저스’, 50억원 시리즈A 투자 유치

목표 달성 플랫폼 ‘챌린저스’ 운영사 화이트큐브가 5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챌린저스’는 누구나 원하는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바일 앱 서비스다.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아 진행된 이번 투자에는 지난 투자사인 알토스벤처스의 후속 투자와 함께, KTB네트워크의 리드로,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펄어비스캐피탈 등 굴지의 VC들이 참여했다. 2019년 10억원 시드투자에 이은 후속 투자로, 이로써 화이트큐브의 누적 투자 금액은 60억원 규모로 확대됐다.

2018년 11월 탄생한 챌린저스는 지난해 말 기준 누적 거래액 814억원을 기록하며 2019년말 누적 240억원 대비 3.4배 성장했다. 작년 한 해 동안에만 무려 573억원이 챌린저스를 통해 거래된 셈이다.

챌린저스의 누적 가입자수는 51만명으로, 이용자들이 개설한 챌린지수가 지금까지 5만5800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참가건수도 158만 건까지 늘어나며 1년전 누적 참가건수인 43만 건 대비 3.7배 이상 증가하는 기록적인 추이를 보였다.

챌린저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목표관리 서비스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이용자 스스로 돈을 건 후 실패하면 차감을, 성공하면 100% 환급에 상금까지 추가로 획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목표 달성을 독려한다. 공식적으로 제공되는 미션은 운동, 학습, 시간관리, 감정관리 등 500여 종에 달하며, 이미 개설되어 있는 챌린지 중 원하는 미션이 없다면 새롭게 주제를 설정해 인원을 모집할 수도 있다. 누구나 자유롭게 챌린지를 개설하고 도전할 수 있는 확장성이 챌린저스의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

챌린저스 앱에서 펼쳐지는 수많은 챌린지의 평균 성공률은 무려 89%에 달한다. 18세부터 44세까지의 연령층이 주요 이용 고객군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직장인, 사회초년생, 취업준비생, 주부 등 다양한 이들이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목표 달성 주기는 평균 2주가 가장 많으며, 설정한 기간 동안 반복되는 도전 과제를 수행하면서 일회성이 아닌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챌린저스는 B2B 대상 제휴 서비스도 확대 중이다. 지금까지 신한은행, 삼성생명, 네이버, 정관장, 아모레퍼시픽 등 기업들이 챌린저스를 통해 가시적인 효과를 창출한 바 있으며,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B2B 사업 성장률 또한 2019년 대비 지난해 실적이 437% 성장했다.

화이트큐브 최혁준 대표는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한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비스 고도화에 더욱 힘써 나갈 것”이라며 “특히 올해는 이용자분들의 관심이 높은 교육, 헬스케어, 자산관리 부문에서 더욱 양질의 챌린지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계 전문가 및 전문기업들과 손잡고 전에 없던 서비스를 선보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투자

하이퍼리즘, AI 웹3 검색엔진 ‘카이토’에 전략적 투자

투자

크릿벤처스, 자율주행 로봇 ‘뉴빌리티’에 10억원 투자

글로벌

양자컴퓨팅 클래시큐,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 등에서 전략적 투자 유치

투자

사내 웰니스 솔루션 ‘달램’, 프리 A 후속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