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Business 스타트업 인사이트

인재 홍수의 시대 우리가 찾는 소셜 인재는 누구?

[박충효] 멋진 사회인이 되기 위해 단풍 구경 보다 취업 준비에 여념이 없는 우리들의 20대, 본격적으로 자신만의 일을 찾기 위해 거쳐야 하는 하나의 중요한 과정이 남았다. ...

인사이트

소셜 DNA를 토대로 팀 성장에 충실해야

2014년 상반기, 한가지에 ‘몰입’하고 나면 많은 것들이 보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그 반대로 많은 것들이 보였다. 페이스북 및 트위터 뉴스피드를 보고 있으니, 미쳐 발견하지 ...

인사이트

우리가 주목해야 할 2014년 소셜 플랜, 콘텐츠 크리에이티브 – 스토리텔링 – 소셜 광고

지난 몇해 동안 소셜 미디어는 다음과 같은 단어로 요약지어 이야기 할 수 있다. 실시간 마케팅, 콘텐츠, 비디오, 모바일, 소셜 분석, 버즈 모니터링 등과 같은 현존 ...

Business 스타트업 인사이트

2014년, 온라인 공간의 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퇴근길 전철안에서 우연히 트위터의 ‘팔로우’와 페이스북의 ‘좋아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분명 SNS와 관련된 얘기일 것 같아 못들은척 젋은 (대)학생들이 나누는 이야기를 들으며 퇴근길 시간을 보내기로 ...

인사이트

오직 말뿐인 소셜 리서치, 무엇을 해낼 수 있을까? – 소셜 비즈니스의 전략적 인사이트 도출

지난번까지의 5가지 개론은 무엇을 선행적으로 할 수 있을지, 그리고 실제 기업 내부 마케팅 – 홍보 파트 – 소셜 비즈니스 파트 – 소셜 분석 매니저가 이끌어 ...

인사이트

소셜 리서치, 작게 시작하고 크게 보자 – Start Small, Think Big

‘경험에 의한 채널 운영이 맞을지? 아니면 사전의 견고한 정성적 조사를 기반으로 한 채널 운영이 맞을지?’ 이에 대한 해답은 누구도 내릴수 없지만 위의 두가지 질문을 절충한다면 ...

인사이트

소셜을 잘 활용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두가지 포인트에 주목하자

2013년의 시작과 함께 잠시나마 숨 고르기를 할 수 있는 2월도 문턱을 넘고 있다. 신년 계획은 물론 목표 수립을 세우고 그 시작 구렁이 담 넘어가듯 지나가고 ...

인사이트

소셜 미디어 특성에 맞는 콘텐츠 차별화, 반드시 필요하다

지난 1월 29일, 블로터 컨퍼런스에서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위한 페이스북 콘텐츠 전략’과 관련한 주제로 발표를 하고 왔다. 국내 10개의 대표적인 브랜드 페이지의 정량적 데이터 들을 재정리 ...

인사이트

SNS를 업으로 삼고 있는 당신에게 던지는 소셜 트렌드 3가지 Q

한국에 SNS가 정착한지 이제 만으로 2년차를 갓넘기게 되었다. 그리고 모바일 생태계도 어느 정도 안정화가 되어 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모바일 메신저이며 대표적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

인사이트

소셜 비즈니스을 위해 항시 Q를 던져보자. 해답은 스스로 찾는 것

 지난 11월 27일,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홍보/마케팅 실무 대상자 중심의 블로그 콘텐츠 실무 특강을 진행했었다. 소셜 미디어의 근간이자 콘텐츠 허브로 대표적인 채널인 블로그 채널에 대한 인사이트를 ...

인사이트

소셜 미디어 채널 시작과 운영, 선택과 집중에 대하여

2013년도 불과 1개월여 남은 시점이다. 이제는 마무리를 서서히 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그만큼 현재의 우리가 하고 있는 이 수많은 일들에 대한 되돌아봄을 어느 때보다 ...

인사이트

온라인의 잠재 소비자, 소셜 고객에게 귀기울이는 습관 들이기

우리는 오늘도 수많은 브랜드에 노출되고 있다. 길을 걷다 마주치게 되는 거리의 간판들도 있고, 273번 간선버스 외벽에 붙어있는 광고, 하루에 꼭 한번씩 보게 되는 페이스북 모바일에서 ...

Social IPhone App
Social IPhone App
Social IPhone App

인사이트

소셜 2세대 스타트업 담당자를 위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가이드 8가지

글쓰기를 통한 스타트업만의 콘텐츠 커뮤니케이션을 언급했으니,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소셜 평판을 쌓아가기 위한 기본적인 소양을 준비해 보도록 하자. 2010년 부터 2011년까지를 소셜을 학습하는데 집중했던 소셜 1세대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