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주간 핫클릭5] 9월 1주 차 (1 ~ 5일)

한주간 발행되었던 플래텀 기사 중 SNS의 반응과 홈페이지 조회수가 높았던 기사들을 선정 ‘주간 핫클릭′을 통해 소개합니다. 이번주에는 어떤 기사, 칼럼들이 화제가 되었는지, 그리고 스타트업 대상 행사와 투자소식 등 주요 내용들을 되짚어 보겠습니다. 혹여 놓치셨거나 못 본 내용이 있다면 눈여겨봐 주시길 바랍니다. <편집자 주>

[주간 핫클릭5]

safe_image

8월 한 달 투자금액 187억 원 이상 … 스타트업 투자동향 

지난 8월, 투자유치 소식을 알린 우리 스타트업은 총 9개 사입니다. 7월(13개사)에는 못 미치는 수치이지만, 올해 월 평균 건수 이상의 투자유치 소식이 있었던 한 달이었습니다. 더불어 파이브락스(5Rocks)의 Tapjoy Korea (탭조이코리아) 피인수 건과 이노버즈미디어의 옐로디지털마케팅 합류 건도 있었습니다. 관련해 정리해 봤습니다. [기사보기]

※ 올해 상반기 및 7월 투자동향 도 참고해 주세요.

99_failure_success20_tshirt-s319x324-47547

스타트업 폐업, 망하려면 깔끔하게 

스타트업 창업이 유행처럼 권장되는 추세지만 존속하는 기업보다 폐업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스타트업 뿐만 아니라 생계형 프렌차이즈 창업 역시 3년내 업종 전-폐업율이 86%라는 통계에서도 알 수 있듯이 2~3년을 버티는 것이 어렵습니다. 창업지원도 중요하지만 실패 이후 지원도 필요한 이유입니다. 최근에는 어느정도 인식변화가 있지만 여전히 우리사회는 창업 실패를 주홍글씨로 여기죠. 하지만 실리콘밸리 등 ICT 창업과 스타트업이 활성화된 곳에서의 창업 실패는 경험으로 인정됩니다. 심지어 VC들 중 상당수는 투자요건으로 창업자의 건건한 창업실패를 보기도 하죠.

스타트업은 실패를 생각할 시간이 없습니다. 성공만을 위해 달려가기도 바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리 인지하고 있는 것과 막상 닥쳤을 때 받는 충격은 강도가 다르겠습니다. 망하는 것도 잘 망해야 다음을 기약할 수 있고요. 막연하게 사업을 준비중인 예비창업자과 초기 스타트업들에게 폐업(개인, 법인)과정과 세금처리 과정 및 창업 선배들의 경험을 전합니다. [기사보기]

safe_image (3)

9월 중순 IPO를 앞둔 알리바바의 1년 성과 짚어보기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80%를 독점하고 있는 알리바바가 9월 18일 미국 나스닥에 증시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참고로 지난해 알리바바의 온라인 총거래액은 2480억 달러(한화 252조 원)였으며, 올해 2분기 총거래액이 820억 달러(한화 83조 원)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는데요. 이는 이베이와 아마존닷컴의 총거래액의 합계 보다 웃도는 수치입니다. 알리바바의 지난 1년의 성과를 짚어봤습니다. [기사보기]

safe_image

린(Lean) 하게 팀 빌딩 하는 법(2/2) 

스타트업을 결심한 당신. 사업 아이디어도 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팀빌딩을 해야 합니다. 그럼 어디서 팀을 찾아야 할까요? 그리고 그 팀원들과의 지분배분은 언제하는 것이 좋을까요? 그리고 누가 최대주주, 대표이사가 되어야 할까요? 이 모든게 잘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희우의 린라이프에서 만나보세요. [기사보기]

safe_image (1)

샤오미(小米) 기업가치 100억 달러, 산자이에서 ‘브랜드’로 부상 

샤오미는 현재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MI3와 MI4가 대표적이죠. 이러한 디바이스를 통해 모바일 하드웨어 분야에서 삼성과 애플을 위협하는 존재로 급부상중입니다. 하지만 하드웨어만으로 샤오미가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자체 커스텀롬인 MIUI를 비롯하여 샤오미만의 독립 앱스토어(MARKET)를 운영하며 꾸준히 매니아층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퀄리티 콘텐츠 도입에도 공격적이고요. 샤오미가 산자이(짝퉁)에서 ‘브랜드’가 되어가는 흐름을 조명해 봤습니다. [기사보기]

9618232247_0a9a8b9304_b

1조 원 펀드 조성 … 요즈마그룹, 한국에 ‘스타트업 캠퍼스’ 만든다 

이스라엘 창조경제의 대표적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요즈마(yozma) 펀드가 한국에 스타트업 캠퍼스 ‘요즈마 스타트업 캠퍼스’를 만든다고 발표했습니다. 최종목표는 글로벌 스타트업, 벤처기업 육성으로, 이를 위해 첫 해 3,000억, 3년간 1조원의 글로벌펀드를 조성해 해외진출이 가능한 국내 스타트업을 발굴한다는 내용입니다. 요즈마 스타트업 캠퍼스의 규모는 6,611 제곱미터(2,000평)이상의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며 장소는 서울, 인천, 경기도 중 한 곳이 검토중입니다. [기사보기]

[스타트업 대상 행사 안내]

safe_image (2)

혁신과 미래를 말하다, 2014 NEXT 컨퍼런스 개최 / 각 분야 최정상의 기업가들과 사상가 그리고 혁신가들을 통해 혁신과 미래를 논하는 행사 ‘2014 NEXT 컨퍼런스’가 개최됩니다. 기술의 흐름과 미래에 대한 이해를 얻고 싶으시다면 눈여겨 보실 행사입니다.

CCKOREA 주최 국제 컨퍼런스 열린다 / 공유와 협력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고 있는 전 세계 혁신가들이 한 자리에 모입니다.

창업 체험 프로그램 ‘제15회 스타트업 위크엔드’ 열린다 / 스타트업들의 협력을 도모하고 경쟁력 있는 창업팀들의 사업 활성화 및 가속화를 돕는 창업체험 프로그램 스타트업 위크엔드(Startup Weekend)의 15번째 행사가 열립니다.

[9월 첫 주 스타트업 투자소식]

safe_image (4)

푸드플라이, KTB 네트워크 – 타임와이즈인베스트먼트 – 패스트트랙아시아로 부터 14억 투자 유치 / 프리미엄 음식 배달을 표방하는 Foodfly(푸드플라이)가 14억 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입니다. 푸드플라이는 2011년 8월 서비스 론칭 후, 스톤브릿지와 패스트트랙아시아로부터 두 번에 걸쳐 투자를 유치한 바 있습니다.

[이벤트]

중화권 시장 보고서 1  2014 중화권 ICT 트렌드를 한눈에   Platum

뉴스레터 구독 신청하면 ‘ICT 시장 진출의 첫걸음’ 보고서 보내드려요  / 플래텀 뉴스레터 구독 신청해 주신 분께는 중화권 시장 보고서 ‘중화권 ICT시장 진출의 첫걸음’ 인쇄물을 보내드립니다. 플래텀에서 엄선하여 보내드리는 우리 스타트업의 생생한 소식(뉴스레터)과 중화권 ICT 트렌드(보고서)를 만나보세요.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인천센터-이랜드 차이나 E-이노베이션밸리, 스타트업 중국 진출 위한 전략적 협력 강화

글로벌

AI 굴기의 시작점, 한 시골마을에서 펄럭이는 깃발

글로벌

중국 베이커리의 반전…”장인의 손길서 냉동기술로”

글로벌

중국, 한국 포함 9개국 무비자 입국 전격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