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디지털 시대의 콘텐츠는 누구나, 어디서나, 무한히 복제할 수 있습니다. 클릭 몇 번으로 복제된 이미지, 영상, 문서들은 원본과 구분조차 어렵습니다. 하지만 예술, 창작, 감정이 담긴 ‘작품’이라면, ...
・
2025.07.07
2021년, 트위터 창업자 잭 도시(Jack Dorsey)가 올린 첫 번째 트윗이 NFT로 발행되어 약 29억 원에 낙찰되었습니다. 해당 트윗의 내용은 누구나 복사하거나 열람할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
2025.07.03
2021년, 한 마케팅 대행사가 한국 근대미술의 거장들의 주요 작품을 디지털로 스캔하여 NFT 형태로 발행하고, 이를 온라인 경매에 부친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해당 작품들의 저작권을 보유한 ...
2025.06.24
한 때 시대를 풍미했던 작품 『바람의 나라』의 원작자는 드라마 『태왕사신기』가 자신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두 작품 모두 고구려를 배경으로 하고 주인공 이름도 비슷한 설정이 ...
2025.06.18
2024년 한국 프로야구는 사상 처음으로 1000만 관중을 기록했다. 평균 관중 수도 1만 5122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고, 전년 대비 37% 증가한 수치였다. 그리고 2025년에는 더욱 놀라운 ...
2025.06.13
1960년대 대중가요 ‘돌아와요 충무항에’는 많은 이들에게 기억되면서도 지역명이 충무항일지, 부산항일지 헷갈려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원곡은 ‘돌아와요 충무항’에 였고, 누군가가 이 곡의 가사 속 지명을 ‘부산항’으로 ...
2025.06.09
우리가 어릴 적 보았던 영화를 떠올려 봅시다. 예를 들어 ‘검정고무신’ 만화를 실사 영화로 만든다고 가정해봅시다. 등장인물과 설정은 그대로지만 배우가 연기하고, 배경은 CG로 바뀌며, 음악과 특수효과가 ...
2025.06.03
Uncategorized
OTT(Over The Top media service)에서 인기 웹툰이 드라마로 제작되고, 유튜브에 유명 노래를 편곡한 영상이 올라오고, AI가 기존 문학작품을 재해석해 새로운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시대입니다. 창작의 방식은 ...
2025.05.27
표절 시비가 붙은 작품에서 흔히 나오는 해명입니다. 원작과의 유사성이 의심되지만, 창작자는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이라 주장하고, 반면 원작자는 “내 아이디어를 가져다 썼다”고 반발합니다. 이럴 때 ...
2025.05.19
한 때 많은 이들이 즐겨 찾았던 도서대여점. 과연 이러한 사업 모델은 저작권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지난 칼럼에서는 ‘최초판매의 원칙’에 따라 책이 한 번 판매된 ...
2025.05.13
중고서점에서 산 책, 혹은 친구에게 빌린 책. 이 책은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유통돼도 괜찮은 걸까요? 창작물이 수십 번 다시 팔리고 빌려지는 동안, 창작자는 단 한 ...
2025.05.09
갤러리에 가지 않아도 예술을 만나는 시대와 더불어 NFT 아트 전시회, 몰입형 미디어 아트 전시, 홀로그램 공연이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화면 속에 떠오른 디지털 그림 한 ...
2025.04.29
1인 방송형 웹캐스팅 플랫폼에서 한 BJ가 실시간으로 방송하고, 시청자들은 댓글로 중계를 즐깁니다. 한편, 누군가는 그 방송의 일부를 녹화해 다시보기 콘텐츠로 제공합니다. 이러한 서비스 형태는 과연 ...
2025.04.22
지난 칼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지털음성송신의 등장은 음악 유통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방송과 스트리밍의 경계를 허무는 서비스들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기술의 진보가 곧 법적 ...
2025.04.15
지난 칼럼에서 살펴보았듯, 팟캐스트, 웹캐스팅, 음악 스트리밍 등 온라인 음원 서비스의 송신 방식이 전송인지, 디지털음성송신인지를 구분하는 일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
2025.04.07
지난 칼럼(콘텐츠 권리자 VS 중계서비스업자 분쟁의 중심, 유사전송이란?)에 이어 이번에는 ‘전송’과 ‘디지털음성송신’의 법적 구분에 대해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이 구분은 특히 팟캐스트, 웹캐스팅, 실시간 음악 스트리밍 ...
2025.03.31
2024년, 국내 음악시장에 ‘밀크뮤직’이라는 독특한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논란이 촉발되었습니다. 이용자들은 이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음악을 라디오처럼 들을 수 있었는데, 문제는 이 ‘스트리밍 라디오’라는 방식이 ...
2025.03.19
방송사는 기존처럼 전파를 통해 실시간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체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VOD)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단순히 ‘방송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전송권’까지 별도로 확보해야 하는 ...
2025.03.13
오디오북이 등장하면서 유튜브에서 책을 읽는 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일명 ‘북튜버’들이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점차 사라지게 되었는데요. 이는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책을 읽는 모습을 촬영하거나 녹음하여 ...
2025.03.07
겨울이 되면 거리마다 울려 퍼지던 크리스마스 캐롤이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혹시 지난 연말, 캐롤이 예전처럼 들리지 않는다고 느끼셨나요?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공연권’ 문제 ...
2025.02.25
2000년대 초반, 많은 이용자들이 MP3 파일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P2P 프로그램 ‘소리바다’는 당시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 파일 공유 행위가 정당한 ...
2025.02.07
만화, 웹툰, 웹소설 등 콘텐츠 분야가 성장하면서 2차적저작물작성권이 핵심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주요 웹툰 서비스 사업자들이 웹툰 콘텐츠 연재 계약 약관 내용에 2차적저작물작성권까지 ...
2025.01.31
동일성유지권은 저작자가 자신의 작품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호받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하지만 실제 사건에서는 동일성유지권이 침해되었는지 여부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잡지와 같은 편집물에 ...
2025.01.23
가요 ‘고독’ 사건에서는 원저작자의 동의 없이 저작물을 편곡한 행위가 동일성유지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단한 반면, ‘돌아와요 부산항에’ 사건에서는 전체적인 형식이 비슷하더라도 이러한 유사성만으로 동일성유지권 침해를 인정하기 ...
2025.01.14
플래텀의 한주간 국내 스타트업 소식 및 중국 테크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